1. 향가와 고려가요의 비교
1.1. 향가의 개념과 특성
향가(鄕歌)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定型詩)로, 신라와 고려 초기에 향찰(鄕札)로 기록된 노래를 말한다. 향가는 우리 시가 사상 최초의 정형성을 띤 노래로서,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보현십원가)가 전한다. 형식은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는데, 향가의 근원적 양상은 민요일 것이다. 그리고 그 기본 형식은 4구체이다. 민요(民謠)의 4구체를 기본으로 하고, 이것의 배수인 8구체나, 여기에 다시 후렴을 더한 10구체가 향가의 정제된 완성형으로 볼 수 ...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