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임신오조증2024.09.011. 임신오조증(Hyperemesis Gravidarum) 1.1. 정의 임신 초기의 입덧 증상이 점점 악화되어 전신장애가 발생하고 결국에는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증상을 임신오조증(Hyperemesis Gravidarum)이라고 한다. 이전에는 조기 임신중독증이라 하여 임신중독증이 하나로 분류했으나, 이 증상이 더욱 악화되어 영양장애나 체액 부조화, 정신신경계 및 심혈관계·신장·간장 등에 장애가 생기는 것을 임신오조증이라고 한다. 1.2. 원인 1.2.1. 사회심리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은 임신 오조증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2024.09.01
-
아동 활력징후2024.10.061. 활력징후 1.1. 활력징후의 정의 활력징후는 "인간의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의미하며, 생체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외부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활력징후는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질병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1.2. 활력징후 측정 방법 1.2.1. 체온 측정 체온 측정은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활력징후 측정 방법이다. 아동의 체온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액와, 고막, 구강, 직장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측정할 수 있다. 액...2024.10.06
-
아동의 활력징후2024.11.181. 활력징후 1.1. 체온 1.1.1. 측정방법 1.1.1.1. 액와 액와는 체온 측정 시 활용되는 신체 부위 중 하나이다. 체온계의 끝이 아동의 액와 중간에 오도록 하고, 아동의 팔을 몸에 밀착시킨 후 최소 5분 이상 측정한다. 이는 구강, 직장 체온 측정이 어려운 경우 활용되는 체온 측정 방법으로, 정확한 체온 측정을 위해서는 액와부위의 땀을 사전에 닦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액와 체온은 구강, 직장 체온에 비해 약 0.5~1도 정도 낮게 측정되므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또한 영아나 협조가 어려운 아동의...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