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마취 간호2024.09.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및 역사 마취란 의식과 감각을 차단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진료 행위이다. 마취의 개념은 18세기까지는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로 쓰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마취의 역사는 고대부터 존재했는데, 수천 년 전부터 알코올, 아편, 대마초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4세기 BC 고대 그리스의 의사 디오스코리데스는 만드라고라 뿌리를 사용하여 수술 중 통증을 줄이는 방법을 기록했다. 이...2024.09.22
-
마취 종류2024.09.291. 마취의 종류 1.1. 전신마취 1.1.1. 전신마취의 특징 전신마취는 중추신경계를 차단하여 의식, 감각, 기억이 모두 상실되는 마취 방법이다. 전신마취 시에는 의식과 감각이 없어지고 골격근이 이완되며, 폐환기와 심혈관계 기능의 손상 가능성이 있고, 기침이나 연하·구토·교감신경계 반응과 같은 체성 신경, 자율신경과 내분비 반응이 소실된다. 전신마취제는 뇌의 기능을 억제하고, 의식·감각의 인지, 수의운동, 불수의 운동, 반사활동 등을 차단하는 것으로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기도 내 흡입이나 혈관 내 주입 또는 밸런스 ...2024.09.29
-
Benxodiazepine2024.11.011. 전신마취 1.1. 전신마취의 단계 전신마취의 단계는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마취 유도기로, 이 단계에서 진통·이완·진정이 일어나며 의식이 소실되는 과정을 거친다. 두 번째 단계인 흥분기에는 불규칙한 호흡, 근긴장도 증가, 사지의 불수의적 움직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외부 자극에 민감한 특징을 보인다. 세 번째 단계는 외과적 수술기로, 전신근육이 완전히 이완되고 반사작용이 소실되며 주요 기능이 저하된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위험기로, 호흡근 마비로 인한 무호흡과 심장마비, 동공 확장 및 고정 등이 나타...2024.11.01
-
마취제 및 합병증2024.10.28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기능 1.1. 소독간호사(Scrub nurse) 소독간호사(Scrub nurse)는 수술 과정에서 멸균된 수술 가운을 입고 멸균 영역에서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활동하는 간호사이다. 수술 과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함은 물론 집도자의 요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소독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물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순환간호사에게 요구한다. 둘째, 드레이핑에 사용하는 린넨을 준비하고, Mayo stand를 준...2024.10.28
-
마취종류2024.10.211. 마취의 종류 1.1. 전신마취 1.1.1. 전신마취의 정의와 특징 전신마취는 뇌의 기능을 억제하여 의식, 감각, 운동 등의 소실을 유발함으로써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통증을 차단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전신마취에서는 의식과 감각이 없어지고 골격근이 이완되며, 폐환기와 심혈관계 기능의 손상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침이나 연하, 구토, 교감신경계 반응과 같은 체성 신경, 자율신경과 내분비 반응이 소실된다. 전신마취제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기도 내 흡입이나 혈관 내 주입 또는 밸런스 마취(정맥...2024.10.21
-
마취종류에따른간호2024.12.011. 마취의 종류와 간호 1.1. 전신마취 1.1.1. 흡입전신마취 흡입전신마취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신마취 방법이다. 마취제의 투여 및 배설이 폐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따라서 마취심도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흡입마취제는 마취유도와 각성이 매우 빠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폐를 통해 들어온 마취제는 혈액을 통해 전달되어 주로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부에서 마취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오더라도 투여된 마취제가 체내에서 완전히...2024.12.01
-
마취 종류와 간호2024.11.171. 마취의 종류와 특징 1.1. 전신마취 1.1.1. 흡입전신마취 흡입전신마취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신마취 방법이다. 이는 마취제의 투여 및 배설이 폐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따라서 마취심도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흡입마취제는 마취유도와 각성이 매우 빠르다. 폐를 통해 들어온 마취제는 혈액을 통해 전달되어 주로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부에서 마취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오더라도 투여된 마취제가 체내에서 완전히 배설되기 위해서는...2024.11.17
-
마취종류 간호2024.11.241. 마취의 종류와 특징 1.1. 전신마취 1.1.1. 흡입전신마취 흡입전신마취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신마취 방법이다. 마취제의 투여 및 배설이 폐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따라서 마취심도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흡입마취제는 마취유도와 각성이 매우 빠르다. 폐를 통해 들어온 마취제는 혈액을 통해 전달되어 주로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부에서 마취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오더라도 투여된 마취제가 체내에서 완전히 배설되기 위해서는...2024.11.24
-
마취간호2024.10.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는 의식과 감각 및 반사 작용이 소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마취"란 말은 18세기까지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에는 전신마취와 국소 혹은 부위마취가 주된 마취 방법이며, 마취 과정에서 환자의 생명활동 유지와 통증 관리를 위한 다양한 보조제가 사용된다. 마취는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진료 행위이며, 이를 위해 숙련된 마취 관리...2024.10.22
-
마취과2024.11.271. 정맥마취 1.1. 정맥마취의 장단점 1.1.1. 정맥마취의 장점 정맥마취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별도의 마취기가 필요 없어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다"이다. 정맥마취는 흡입마취와 달리 고가의 마취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장비 없이도 쉽게 마취를 시행할 수 있다. 이는 의료기관의 장비 투자 부담을 줄이고 마취 시술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환자의 거부감이 적다"이다. 정맥마취는 마스크를 통한 가스 흡입이 필요 없어 환자들이 느끼는 불편감과 두려움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는 환자의 수술에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