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MOTOR 종류2024.08.311. 모터의 종류와 원리 1.1. 모터의 동작 원리 1.1.1. 3상 교류 모터의 동작 원리 3상 교류 모터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축에 자석을 고정시켜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N극을 점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에 붙어 있는 자석의 S극이 밖에서 회전하고 있는 N극에 흡인되어 N극을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축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교류를 이용한 유도 모터는 모두 이와 같은 원리로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떠한 방법으로 회전자계(N극이 도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느냐 하는 것이다. ...2024.08.31
-
직류모터 교류모터2024.08.311. 서론 1.1. 전동기와 발전기의 정의 및 상호관계 전동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발전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전동기와 발전기는 서로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전기와 기계 에너지의 상호 변환을 통해 작동한다는 점에서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동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면 회전력이 발생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그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즉, 발전기는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2024.08.31
-
서울대학교 물리학 실험 전자기 유도 A2024.09.141. 서론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자기장 속에서 회전하는 전동기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해 측정하고, 자석의 종류와 전원장치로 전동기에 공급하는 전압을 바꾸면서 유도 기전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1.2. 실험 배경이론 1.2.1. 페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 페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이란 시간에 따라 코일이나 회로의 자기선속이 변하게 되면, 유도 기전력이 회로에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한 것이다. 이 법칙에 따르면, 자속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도 기전력이 발...2024.09.14
-
직권 분권 전동기의 운전특성2024.10.061. 서론 많은 사람들은 콘센트에 코드를 꽂으면 당연하게 전기가 통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전기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항공정비사를 꿈꾸는 우리는 전기의 발생 원리와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근래의 항공기는 대형화, 디지털화, 자동화 등을 추구하고 있다. 즉, 작은 전기적인 문제 하나로 전기 장치가 고장 난다면 항공기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비 항공 정비사인 우리는 전기의 발생 원리와 작동 원리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2024.10.06
-
직류 발전기 구성요소와 역할2024.11.241. 직류 발전기의 구성 요소와 역할 1.1. 자석(Magnet) 자석(Magnet)은 직류 발전기의 외곽에 위치하며, 발전기 내부에서 자속을 생성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자속은 발전기 내부에서 전기 에너지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계자 권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만들어진다. 자석은 주자속을 형성하며, 이 자속은 전기자에서 회전 운동을 통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자석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직류 발전기는 전력 밀도가 높아지고 유지...2024.11.24
-
전기기기실험2024.10.311. 발전기의 특성 1.1. 무부하 포화 곡선 무부하 포화 곡선은 발전기의 중요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곡선은 계자전류에 따른 무부하 단자전압(유도 기전력)의 관계를 보여준다. 계자전류를 증가시키면 유도 기전력이 점차 증가하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증가량이 점점 감소하게 된다. 이는 계자철심의 자기포화 현상 때문이다. 계자철심이 최대로 자속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계에 도달하면, 계자전류를 더 증가시켜도 자속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유도 기전력의 증가량이 점점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계자전류를 ...2024.10.31
-
조선대 전기기기12025.06.101. 서론 직류전동기는 실생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들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단순히 모터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냉장고, 컴퓨터, 자동차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직류전동기의 개념, 구조, 원리, 분류, 특징 및 사용 현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전기기기1 강의를 바탕으로 직류전동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직류전동기의 개념과 구조 2.1. 직류전동기의 개념 직류전동기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직류전동기는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받아 직류전류로 회...2025.06.10
-
직류전동기 원리 용도 특징 종류 조선대 전기기기2025.05.301. 서론 1.1. 직류전동기의 개요 직류전동기는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직류전류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직류전류가 고정자와 회전자를 통해 흐르면서 자속을 발생시키고, 이 자속과 전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토크가 발생하여 전동기를 회전시킨다. 직류전동기는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어 다양한 기기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직류발전기와 구조가 유사하여 일반적으로 직류발전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1.2. 직류전동기의 구조 및 원리 일반적으로 전동기의 고정되는 부분을 고정자라고 부르...202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