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2024.10.221. 한국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 1.1. 위기에 직면한 한국민주주의 한국민주주의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민주화 이후 15년이 지난 오늘날 한국의 민주주의는 사회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채 안락한 보수주의에 젖어있는 모습이다. 이는 한국민주주의의 역사적·구조적 기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민주화 이후 한국의 정당체제는 여전히 보수와 극우만을 대표하는 좁은 이념적 스펙트럼 내에서 경쟁하고 있다. 냉전 반공주의가 지배적 이념으로 지속되고, 이에 기반한 보수독점의 정치구조가 공고화되면서 한국민주주의는 내용...2024.10.22
-
한국 정부론 정부의 바람직한 운영방향2024.09.281. 서론 우리나라는 일제 식민지배로부터 해방과 더불어 자주독립 정부를 수립하여 살아오는 동안 제3세계의 여타 국가들이 부러워하고 모범을 보일만큼 경제, 산업·무역, 과학기술, 문화 등 사회 제 분야에 걸쳐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룩해 왔다." 그러나 유독 정치 분야에 있어서만은 그러하지 못했다는 안타까움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정치가 대의민주정치의 근본인 설득과 타협에 의한 조화의 정치를 해내지 못하고, 매사에 갈등과 대립으로 점철되어 국정이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없는 원인은 무엇이며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2024.09.28
-
빈부의 차 정당2024.08.301. 서론 1.1.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공통적 특징 1.1.1. 정치적 특징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정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틴아메리카 경제개발 전략 - 정치'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193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전반적으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경제개발 전략에 따라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이 시기 라틴아메리카에서는 포퓰리즘과 독재정권이 등장했는데, 이는 사회질서의 안정적 보장을 명분으로 군부가 정권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군부 세력의 집권 후 경기 침체와 실업률 증가로 인한 국민들의 저항이 일어나면...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