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인사행정 엽관주의 실적주의2024.09.291. 서론 인사행정이란 정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정부조직이 가진 인적 자원(주로 공무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동원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정부는 유능한 인적 자원을 보유해야 할 뿐 아니라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줄 알아야 한다. 특히 소방서의 경우 소방 인력을 언제, 어떻게, 얼마만큼 투입하느냐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우수한, 양질의 소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소방인력을 확보해야 하고, 소방 공무원들이 공익성과 윤리성, 사명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도록 사기 관리, ...2024.09.29
-
대한민국의 헌법개정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2024.09.301. 대한민국 헌법개정과 지방자치 1.1. 우리나라 헌법개정의 역사 우리나라 헌법개정의 역사는 1948년 제헌헌법 이후로 9번의 개헌이 있었다. 제헌헌법 이후 이승만 정부 시절 2차례의 개헌이 있었는데, 그 중 1952년의 개헌은 이승만의 장기 집권을 위한 것이었다. 이승만 정부 하에서 국회에서 개헌안이 통과되지 않자, 당시 이승만 정부는 국회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방식으로 개헌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를 "사사오입 개헌"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발생한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무너졌고...2024.09.30
-
공무원 정년퇴임 인사말2024.10.291. 서론 인사행정론 중의 가장 중요한 3대 제도를 꼽으라면 엽관제와 실적제 그리도 직업공무원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엽관제, 실적제, 직업공무원제 이 세 가지 제도 중 어느 것이 우수하다, 아니면 나쁜 것이다 라고 결정짓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엽관제와 실적제, 직업공무원제의 의의와 설립배경, 장단점을 알아봄으로서 각각의 제도가 우리나라의 제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엽관제도, 실적제도, 직업공무원제도의 의의 2.1. 엽관제도의 의의 엽관제도(獵官制度)란 공무원의 임용을 정당관계, 혈연, 지...2024.10.29
-
이것이 민주주의다2024.10.131. 민주주의의 개념과 특성 1.1. 민주주의의 정의와 발전 민주주의(democracy)의 어원은 데모스(demos, 가난한 다수의 사람)와 크라토스(kratos, 권력 혹은 지배)의 합성어로,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수적으로 우세한 무식하고 가난한 사람들이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체제를 의미했다. 그러나 문명이 발전하고 교육받은 인민들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민주주의의 의미는 긍정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링컨 대통령이 제시한 "인민의, 인민에 의한, 인민을 위한 통치"라는 정의를 통해 잘 나타난다. 이는 민주주의에서 ...2024.10.13
-
스윙보트 감상문2024.10.201. 소개 영화 '스윙보트'는 미국의 대통령 선거 과정을 통해 현대 민주주의의 맹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영화는 미국 대통령 선거 제도의 문제점을 탁월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우선, 이 영화는 미국의 간접 선거 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잘 보여준다. 미국은 선거인단 선거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주 단위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선출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일부 주의 승자 독식 제도로 인해 실제 선택권이 제한되고 소수의 유권자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2024.10.20
-
의무투표제2024.09.051. 의무투표제에 대한 찬반론 1.1. 의무투표제 찬성의견 1.1.1. 의무투표제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의무투표제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민주주의는 국민의 정치적 합의에 기초한 국가권력의 행사를 통해 실현되는데, 이는 국민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가능하다. 선거는 국민이 국가의사 형성에 참여하는 대표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투표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민주화 이후 자율적인 정치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과거의 권위주...2024.09.05
-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2025.03.271. 서론 1.1.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 서평 이 책은 조선의 역사를 훈구와 사림, 붕당정치, 병자호란, 임진왜란, 세도정치 등의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다룬다. 저자는 역사학에 없는 논리적 해석을 가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철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역사의 모순과 불합리성을 밝혀내고자 함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역사를 '풀과 가위'의 역사로 규정한다. 역사가들이 사실을 단순히 나열하는 경향이 있어 역사 속의 논리적 모순을 파악하지 못하는데, 철학의 도움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역사적 사실 자체에도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