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쿰란 공동체 문서2024.09.201. 제2성전기 유대교와 예수 운동의 이해 1.1. 책 소개 '초기 유대교와 예수 운동(Early Judaism: The Exile to the Time of Jesus)'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머피 교수가 2002년에 출간한 책이다. 이 책은 1991년에 출간한 '제2성전기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종교세계(The Religious World of Jesus: An Introduction to Second Temple Palestinian Judaism)'의 개정판이다. 머피 교수는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었으며, 특...2024.09.20
-
대선지서 요약2024.11.081. 성경 이해 1.1. 성서란 무엇인가? 1.1.1.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서 성서는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동시에 인간의 산물이다. 성서는 긴 역사를 내포하고 있고 인간의 언어로 쓰여졌으며 인간들의 역사와 생활을 철저히 반영하고 있다. 성서 속에는 철학과 시와 노래와 역사와 문학이 담겨 있다. 이처럼 성서는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성서는 단순히 하나님의 기계적 조작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니라 인간의 증언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처럼 성서는 인간의 시대적 산물이면서도 동...2024.11.08
-
성경 해석학총론2024.10.151. 성경해석학 개론 1.1. 해석의 필요성 해석의 필요성은 성경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리와 규칙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 세기 전을 살았던 사람들과의 시간과 문화의 차이를 극복하고 성경의 의사 전달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적합한 해석학적 지침과 방법론이 필요하다"" 임의적이고 잘못된 해석을 피하기 위해서는 해석자에게 규칙과 원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해석학의 기본적인 목표는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지침과 방법론을 제공하고 설명하며 증명하는 것이다"" 성경 해석자는 가변적, 주관적, 인간...2024.10.15
-
장신대2024.11.191. 개신교 구약성경의 구조 1.1. 연구의 목적과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개신교인 39권으로 구성된 개신교 구약성경을 분류하여 총론적인 맥을 정리하고 성경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조화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대한예수교 장로회 정통 신학대학의 지도교수 감독아래 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 입장으로 구약성경을 연구해보고 뒷받침할 근거를 조사·적용하여 구조를 재해석하는 것이다. 1.2. 개신교 구약성경의 정의 현 시대에는 수많은 종교의 경전이 존재한다. 그리고 각 경전은 각자의 종교가 말하는 진의(眞意)를 담고 있다. 우리...2024.11.19
-
열왕기상의 문학적 장르2024.12.171. 하나님 나라 관점으로 읽는 구약신학 1.1. 구약성경의 통일성과 문학적 접근 성경에는 정경으로서의 통일성이 있으며 문학으로서 장르가 있다. 성경 해석자가 성경 본문을 성경의 장르와 구조에 맞는 방식으로 바르게 읽기 위해서는 '본문 자체가 제공하는 관점'으로 본문을 보아야 한다. 성경의 개별적인 본문들은 성경 전체가 제공하는 관점으로 이해해야 하는데 성경 전체가 제공하는 관점은 개별적인 본문들을 반복해서 읽을 때 얻을 수 있다. 구약 성경은 본래 한 권의 책이 아니다. 성경은 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많은 저자들에 의해 개...2024.12.17
-
신학과 사람의 연관성2024.08.281. 성경신학의 개념과 유형 1.1. 성경신학의 정의와 의의 성경신학의 정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성경신학은 성경을 신학적 관점에서 다루는 학문 분과이다. 성경신학은 성경이 계시하고 있는 하나님의 진리와 뜻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성경신학은 성경 전체의 내용과 메시지를 하나의 통일된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성경신학은 성경이 전달하고자 하는 신학적 진리를 밝히고자 한다. 성경신학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신학은 성경의 신학적 메시지와 진리를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성경 이해를 돕는다....2024.08.28
-
시편 72편2024.08.311. 시편의 개요 1.1. 시편의 명칭 시편의 히브리 명칭은 "세페르 테힐림(??? ?????=찬양들의 책)" 또는 단순히 "테힐림 ( ?????=찬양들)"이다. 이것은 "비블로 프살몬: β?βλ? Ψαλμω?ν=시편의 책"이라 한 신약의 명칭과 일치한다.(눅20:42; 행1:20) 헬라 사본들에는 프살테리온(Ψαλτ?ριον=현악기, 노래들의 수집)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프살모이(Ψαλμο?)로 되어 있다. 벌게이트 역은 LXX를 따라 리베르 프살모룸(Liber Psalmorum)으로 되었으며 이에서 영어 명칭(Psalm...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