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중심 문법교육과 과정중심 문법교육
2024.09.26
1. 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은 사실 매우 어려운 개념이다. 이는 한국어에 관한 배경 지식이나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이해 가능한 차원에서 한국어에 관한 추상적인 지식이 아니라 각각의 문법적 형태들의 구체적 의미, 형태, 음운, 형태, 통사, 그리고 회용적 기능 등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통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돕는 일종의 체계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체계를 세우는 것에 있어서 일반적인 국어문법과 상호 구분되는, 즉 외국인 학습자를 고려하는 문법이 기술되어...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