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요약 정리2024.10.011. 진단검사와 간호 1.1. 진단검사의 단계 진단검사의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검사 전 단계(pre-examination)이다. 이 단계에서는 대상자의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검사를 위한 장비와 준비물을 알아야 한다. 대상자 교육을 실시하여 검사의 목적과 절차, 검사로 인한 활동제한과 신체반응, 잠재적인 합병증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진단검사 장비에 대한 정보와 결과 확인 시간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두려움을 해소하고 검사에 협조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검사 중 단계(...2024.10.01
-
임상적 의의2024.09.071. 흉수의 정의 및 종류 1.1. 흉수의 정의 흉강은 폐 쪽 흉막과 흉벽측 흉막 사이에 만들어진 공간으로, 정상적으로는 5~15mL의 장액성 액체(무색투명한 액체)가 존재한다. 병적으로 다량의 유출액이 흉강 안에 고였을 때는 감별진단을 위해 천자를 시행하여 유출 액을 채취해야 한다. 채취된 흉수는 체액 성분 검사 및 세포 검사를 실시하여 원인을 찾아 감별 진단에 활용한다. 1.2. 흉수의 종류 1.2.1. 여출액(transudate) 여출액(transudate)은 혈액 중 단백질 농도가 저하되어(교질 삼투압저하) 수분이 혈관 ...2024.09.07
-
혈액감염 검사 정상수치2024.09.091. 혈액 검사 및 진단 1.1. 혈액 검사물 관리 혈액 검사물 관리는 혈액 진단검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피부 및 장비의 오염을 예방하여 잘못된 검사결과를 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초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최대한 빨리 감염균을 찾아내기 위해 검체를 검사실로 즉시 이송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항생제를 투여하기 전에 혈액배양검사를 위한 검체를 채취해야 한다. 혈액배양검사 시 주의사항으로는 배양 병의 사용 기한 및 용기 파손 여부 확인, 정확한 대상자 확인, 무균조작으로 잡균 혼입 방지, 정맥 유치...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