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조선대학교 기계2024.09.24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1차 전지인 알루미늄-공기 전지를 제작하여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측정하고 방전 용량을 구해봄으로써 배터리의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다양한 농도의 전해질(KOH, NaCl, H3PO4)을 사용하여 전지 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알루미늄-공기 전지의 장단점을 고찰하여 이 전지의 응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1.2. 실험 장비 및 재료 알루미늄 호일(15mm X 15mm)을 준비한다. KOH, NaC...2024.09.24
-
고칼륨혈증2024.10.061. 전해질 불균형 1.1. 산-염기 불균형 1.1.1. 호흡성 산증 호흡성 산증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탄산이 과잉된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호흡근의 마비에 따른 환기 저하, 폐기종이나 마취제 등 연수의 호흡중추가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 호흡성 산증의 보상기전은 다음과 같다. 호흡성 산증은 혈액완충제로 수 초 이내에 교정가능하고, 수 시간 내에 신장은 수소이온을 배출한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NH4)의 형성과 배출을 하고, 중탄산 이온(HCO3-)의 보유와 염소(Cl-)의 배출로 보상된다. H+와 ...2024.10.06
-
Cyclic voltammetry2024.10.061. 서론 Cyclic voltammetry는 전해질 용액 내에서 작업 전극에 가해지는 전위를 시간의 함수로 변화시키면서 이에 대응하여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이다. 이를 통해 전극 표면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의 열역학 및 동역학적 특성을 연구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은 전해질인 KNO3와 반응물질인 K3[Fe(CN)6]를 이용하여 순환 전압전류법(CV)를 수행함으로써 전기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산화환원반응(oxidation-reduction reaction) 산화환원반응...2024.10.06
-
nernst equation2024.10.06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금속 간 환원 경향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화학 전지를 구성하고, 전지 전위와 네른스트 방정식을 통해 화학 전지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총 3가지 실험을 진행한다. 첫 번째는 금속의 종류에 따른 전지 전위 측정, 두 번째는 전해질 농도 변화에 따른 전지 전위 변화 관찰, 세 번째는 네른스트 식을 이용한 농도 측정이다. 이를 통해 금속 간 산화-환원 반응과 화학 전지의 원리, 네른스트 식의 유도 및 각 성분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1.2. 실험 기구 및 시약 실험 기구...2024.10.06
-
순환전압전류법2024.10.111. 실험 목적 1.1. 순환 전압-전류법의 원리 학습 및 실험 방법 익히기 순환 전압-전류법의 원리 학습 및 실험 방법 익히기는 전기화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순환 전압-전류법은 전기화학 반응의 전하 전달 또는 물질 전달과 관련된 인자를 구하고, 반응 메커니즘을 조사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분석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작동 전극의 전압을 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변화시키며 전류를 측정한다. 초기 전압에서 최종 전압까지 한 번의 전압 변화를 주는 경우를 선형 주사 전압-전류법이라고 하고, 최종 전압에 도달한 이후 다시 초...2024.10.11
-
생리학 문제2024.10.11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1.1. 음성되먹임 음성되먹임이란 내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면 이를 최소화시키려는 기전이다. 외부자극에 의해 내환경이 변화하면 이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내환경의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체온조절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성되먹임이 대표적인 예이다. 외부 온도가 올라가면 체온조절 중추가 이를 감지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 혈관 확장, 땀 분비 등의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는 모두 외부 온도 상승에 따른 체온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음성되먹임 과정이다. 이처럼 음성되먹임은 내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항상...2024.10.11
-
신장 수분 전해질2024.12.251. 신장과 체액 생리학 1.1. 신장 1.1.1. 신장의 구조 신장의 구조는 바깥층인 과립상의 겉질과 내층인 속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은 겉질로부터 속질 쪽으로 배열돼 있고, 한쪽 신장은 약 1백만 개, 양쪽에 2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구성돼 있다. 네프론은 신소체(말피기소체)와 세뇨관으로 되어 있으며, 신소체는 사구체(모세혈관 덩어리)와 보먼주머니로 이루어졌다. 사구체의 모세혈관은 일반 조직의 모세혈관과 다르게 토리주머니의 속층과 접촉하고 있다. 다시 말해, 토리여과는 모세혈관 벽과 토리주머니벽을...202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