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진단검사와 간호 정리2024.09.261. 진단적 검사 1.1. 혈액 검사 1.1.1.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는 혈액의 주요 구성 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수치와 수치에 따른 다양한 지표를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혈액 검사이다. 적혈구(Red Blood Cell, RBC)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혈색소(Hemoglobin, Hb)는 적혈구 내에 함유된 산소 운반 단백질이다. 적혈구 수, 혈색소 농도, 헤마토크릿(Hema...2024.09.26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요약 정리2024.10.011. 진단검사와 간호 1.1. 진단검사의 단계 진단검사의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검사 전 단계(pre-examination)이다. 이 단계에서는 대상자의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검사를 위한 장비와 준비물을 알아야 한다. 대상자 교육을 실시하여 검사의 목적과 절차, 검사로 인한 활동제한과 신체반응, 잠재적인 합병증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진단검사 장비에 대한 정보와 결과 확인 시간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두려움을 해소하고 검사에 협조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검사 중 단계(...2024.10.01
-
lab정상수치2024.09.141. 혈액검사 항목 1.1. 백혈구(WBC) 검사 백혈구(WBC) 검사는 감염과 관련된 문제나 혈액질환의 유무, 면역력을 평가하는 주요 검사이다. 백혈구 수치가 정상범위인 4,000~10,000 /㎣를 벗어나는 경우 다양한 병리적 상태를 시사할 수 있다. 백혈구 수가 증가한 경우, 세균성 감염이나 급성 감염, 백혈병 등의 혈액암, 다혈구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백혈구 수가 감소한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구증, 악성 종양 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중성구(호중구)는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을 담당하므로 중성구 수치 ...2024.09.14
-
성장과 발달 현문사2024.10.221. 신생아 황달 1.1. 개념 황달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여 피부에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신생아의 피부와 눈 흰자위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것을 말한다. 황달이 발생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출생 직후의 신생아에서 나타나는 황달은 성인의 황달과는 달라 치료 역시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신생아 황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신생아의 생리적 황달은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5mg/dL 이상일 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생리적으로 출생 초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정상수치는 소아보다 높은데 생리적 황달은 생후 2-3일째 나타나...2024.10.22
-
체액 전해질 균형 이론2024.09.301. 수분 전해질 불균형 1.1. 수분 전해질 균형의 생리적 기전과 수분전해질 불균형 유형 수분 전해질 균형은 인체에서 체액을 조절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총체액량(TBW)은 체중의 60% 정도로, 이 중 세포내액(ICF)이 40%, 세포외액(ECF)이 20%를 차지한다. 세포외액에는 주로 나트륨(Na+), 염소(Cl-) 등의 전해질이 다량 존재하므로 수분의 균형뿐만 아니라 전해질의 균형 또한 중요하다. 신생아는 체중에 비해 총수분량이 많고 수분교환율, 신진대사율이 높아 수분 전해질 불균형에 취약하다. 특히...2024.09.30
-
혈액검사 종류2024.12.261. 혈액 검사의 이해 1.1. 일반 혈액 검사(CBC) 1.1.1. 적혈구 적혈구는 순환하는 총 적혈구 수를 측정하는 검사로, 정상범위는 남자 450만~600만/mm3, 여자 400만~500만/mm3이다. 적혈구는 적혈구 속에 포함되어 산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혈색소를 가지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에도 관여하며, 적혈구 하나에는 약 2억 8천만 개의 혈색소가 포함되어 있다. 적혈구의 증가는 탈수를 의미하며, 감소는 빈혈, 출혈, 골수 질환, 면역 질환, 독극물 섭취에 의한 적혈구 파괴를 나타낸다. 적혈구용적률(헤마토...2024.12.26
-
전해질 불균형 간호2024.10.151. 전해질이란 1.1.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 1.1.1. 농도차이 체액 내의 물질들은 농도차에 의해 확산(diffusion)되어 이동한다. 즉, 용질(입자)은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농도 평형을 이루려 한다. 이러한 확산 현상은 실험적으로 증명되었으며, 물질이동의 기본 원리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신체 내 세포 밖 용액에는 주로 나트륨(Na+)이 많고, 세포 내부에는 칼륨(K+)이 많다. 그런데 세포막의 Na+/K+ ATPase 펌프가 작용하여 세포 밖의 Na+을 세포 밖으로 밀어내고, 세포 ...2024.10.15
-
lab검사결과2025.02.021. 서론 1.1. 혈액검사에 대한 개요 혈액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이며, 혈액검사는 이러한 혈액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이다. 혈액은 크게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이루어진 혈구 세포와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성분들은 우리 몸의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백혈구는 감염 및 면역 반응, 혈소판은 지혈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혈장은 혈액 응고에 필요한 요소들과 영양분, 전해질, 호르몬 등을 포함하고 있어 우...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