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물리 홀효과2024.09.211. 홀 효과(Hall Effect)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홀 효과의 원리를 이해하고 홀 효과의 중요한 특성인 이동도, 운반자 type, 운반자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홀 효과 측정을 통해 전류를 이루는 주 전하의 부호를 결정하고, 홀 계수 값으로부터 전하 운반자의 농도를 얻으며, 비저항과 홀 계수로부터 이동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에서의 전자와 정공의 행로를 파악할 수 있고,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알아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실험 개요 반도체에서 주로 사용...2024.09.21
-
키르히호프의 법칙2024.09.261. 키르히호프의 법칙 1.1. 키르히호프 제1법칙(전류법칙) 1.1.1. 전류 보존의 법칙 전류 보존의 법칙은 전하 운반자(charge carrier)가 도체 내부에서 움직일 때, 전류는 흐르게 되며 전하는 항상 보존된다는 물리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말한다. 회로의 한 부분에 전하가 축적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한 지점으로 흘러들어오는 전하의 양과 같은 지점에서 흘러나가는 전하의 양이 같아야 한다. 즉, 전류는 전하 흐름의 비율이므로 한 지점으로 들어오는 전류와 흘러나가는 전류가 같아야 한다. 이는 키르히호프 제1법칙(전류법칙)에서...2024.09.26
-
반도체 열적특성2024.10.151. 반도체 소개 1.1. 반도체의 정의 및 특성 반도체는 절대 영도에서 가장 위의 원자가띠가 완전히 차 있는 고체 물질이다. 반도체는 금속 및 부도체의 중간적인 전기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외부의 전압, 온도, 빛 등의 변화에 따라 전기 전도도가 크게 달라진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반도체는 전자공학, 통신, 정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반도체의 대표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온에서 전기 전도도가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수준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는 전압이나 온도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2024.10.15
-
hall effect2024.12.271. Hall Effect 실험 1.1. 실험 목적 Negative Type과 Positive Type의 홀 전압을 측정하여 Hall mobility, Carrier concentration, Hall coefficient의 값을 직접 구해봄으로써 N-type과 P-type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Hall effect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반도체의 종류에는 N-type과 P-type이 있는데, N-type의 경우 전하 운반자가 자유 전자인 반면 P-type은 양공이 전하를 운반한다. 자기장에 놓인 고체에 자기...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