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전통장단 비교연구2024.09.111. 한국 전통음악의 장단과 고법 1.1. 판소리 고법 1.1.1. 고수의 역할 고수는 판소리에서 소리꾼의 노래를 반주하며 장단을 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고수는 보통 소리꾼의 왼쪽에 앉아 소리꾼을 바라보며 북을 친다. 고수가 갖추어야 할 3가지 주요 요소는 자세, 추임새, 가락이다. 자세란 허리를 바로 세우고 앉은 자세에서 시선을 소리꾼에게 맞추어야 하며, 소리를 방해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추임새는 소리 도중에 "잘한다", "좋다" 하는 식으로 이어지는 감탄사로, 판소리가 긴 호흡의 공연예술이기...2024.09.11
-
요고와 장고의 역사2024.10.041. 요고와 장고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1.1.1. 고구려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와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의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요고는 세요고(細腰鼓)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매우 작은 편이었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었고,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나라 및 당나라의 기록에서 고구려 요고와 관련한 언급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노래 "...2024.10.04
-
풍물이 주는 교육적가치2024.10.041.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1. 세시풍속의 의미와 교육적 활용 세시풍속은 전통적인 생활양식으로서의 무형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세시풍속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차 소멸되어가고 있다. 전통문화에 대한 학습은 과거의 모습을 통해서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우리의 '뿌리 찾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세시풍속은 당대 사람들이 한해를 살아가는 생활양식으로 생업을 바탕으로 한 자연환경과 사회문화에 대한 적응방식이다. 이는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공감대를 형성하여 되풀이되는 의례적 집단 행위로,...2024.10.04
-
농악과 사물놀이의 차이2024.10.031. 서론 본 내용은 아래 물음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기존의 것을 계승하여 활용한 것을 찾아보고 그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해당하는 한국 민속에 대해 생각하던 중, 최근에 나의 과거 사진들을 보면서 추억 팔이를 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 중 초등학교 6학년 학예회 때 사물놀이 무대에 섰던 사진이 있는데, 이 사진을 보면서 뿌듯했다. 왜냐하면 성인으로 자란 지금이라도 다시 활동하고 싶을 정도로 즐거웠고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과 더불어 예전에 내가 뉴스에서 '사물놀이의 세계화'에 대한 보도를 본 것이 ...2024.10.03
-
유아사회교육 계획안2024.09.281. 우리나라 사람의 의·식·주생활 알기 1.1. 우리나라의 옷 경험하기 우리나라의 옷은 한복이라는 고유의 전통 복식문화를 가지고 있다. 한복은 오랜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의복이다. 한복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계절과 신분에 따라 입는 방식도 달랐다. 과거에는 신분과 성별에 따라 엄격하게 복식을 구분하였지만, 현대에는 일상복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복의 기본 구성은 저고리, 치마, 바지, 두루마기 등이며, 계절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아이템이 추가된다. 저고리는 소매와 길이가...2024.09.28
-
국악2024.10.081. 국악체험 공연 관람기 1.1. 첫 번째 공연 - 대취타 첫 번째 공연에서 연주된 대취타는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개선 등 행진에 쓰인 음악으로, 고려시대부터 전해오고 있다. 대취타는 지휘자 역할을 하는 집사가 지휘봉인 등채를 양손에 들고 "명금일하 대취타"라고 명령하면 연주가 시작된다. 대취타는 주로 부는 악기(취악기)와 두드리는 악기(타악기)로 구성되며, 취악기에는 나발, 나각, 태평소가 쓰이고 타악기에는 용고, 자바라, 징 등이 사용된다. 대취타는 임금님이 위엄 있게 웅장하게 행차하실 때 어울리는 음악으로, 멜로디가 딱 정...2024.10.08
-
유아국악계획안2024.12.191. 연간 지도 계획안 1.1. 월별 주제, 전래동요, 전래놀이, 전통음악, 한자성어 월별 주제, 전래동요, 전래놀이, 전통음악, 한자성어는 다음과 같다" 3월 주제는 "즐거운 유치원"이며, 전래동요로는 "똘이 장군"과 "꼬마야 꼬마야"를, 전래놀이로는 "이박저박", "가위,바위,보 업어주기", "다리셈놀이"를, 전통음악으로는 "전통 악기의 종류를 알고 소리 듣기"와 "사물의 이름과 소리듣기"를, 한자성어로는 "죽마고우", "청출어람"을 다루었다" 4월 주제는 "봄"이며, 전래동요로는 "대문 놀이"와 "여우야 여우야"를, 전래...2024.12.19
-
초등학교 음악 놀이수업2024.09.011. 아동음악 개요 1.1. 영유아 아동음악의 정의 영유아 아동음악이란 영유아에게 발달적으로 적절한 음악을 감상하고,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동작으로 표현하기 등의 다양한 음악적인 활동을 제공하여 음악을 즐기고 반응하며 표현하는 활동이다. 이는 발달을 촉진시키며, 통합적 접근에 의한 전인발달을 돕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1.2. 아동음악의 중요성 음악은 영유아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영유아기에 음악적인 경험을 통해 정서, 사회성, 신체 및 음악적 발달을 이루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