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금속의 미세조직 관찰 실험2024.09.121. 금속의 미세조직 관찰 1.1. 실험 목적 금속의 미세조직을 관찰하는 실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금속학적 원리를 기술 분야에 적용하려면 금속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이를 통해 제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조직의 변화와 재료의 조직과 성질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현미경이며, 이를 통해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을 볼 수 있고, 여러 가지 상과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의 조직에 미치는 열처리, 가공 및 기타 처리의 영향을 알 수 있고,...2024.09.12
-
편광현미경 관찰 방법 및 사용 방법2024.09.201.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고분자 구정 관찰 1.1. 실험 목적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고분자의 결정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살펴보고, 냉각조건이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원리 편광현미경(Polarized Optical Microscope, POM)에는 각각 특정한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편광자(Polarizer)와 분석자(Analyzer)가 있다. 이들이 서로 90˚로 되어 있을 때, 빛을 통과시키면 어떠한 빛도 통과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결정을 가진 시료가 편광자와 분석자 사이에 놓여있으면,...2024.09.20
-
편광현미경 사용 방법 및 유의사항2024.09.201.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및 사용법 1.1. 현미경의 종류 1.1.1. 광학현미경 광학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확대하여 관찰하는 현미경이다. 광학현미경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현미경으로, 얇게 박편으로 만들어진 표본에 빛을 투과시켜 관찰하며 주로 단편 관찰에 이용된다. 광학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현미경으로 보통 초점거리가 짧은 대물렌즈에 의해서 확대된 모습인 상을 초점거리가 긴 접안렌즈에 한 번 더 확대하여 보는 원리로 만들어진다. 광학현미경의 구조는 크게 접안렌즈, 경통, 대물렌즈 교환기, 대물렌즈, 조동나사, 미동나...2024.09.20
-
세포 및 동물 외형 관찰 해부학 실험2024.11.081. 세포와 조직 관찰 1.1. 광학현미경의 원리와 구조 1.1.1. 광학현미경의 발달 광학현미경의 발달은 과학 역사 속에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인간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세계를 관찰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은 그 발명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기술적 혁신을 거듭해왔다. 최초로 현미경을 사용했던 사람은 스위스의 의사 게스너이다. 그는 16세기 중반 다양한 렌즈를 이용하여 현미경을 제작했다. 이후 1590년경 네덜란드의 얀센 부자에 의해 망원경의 형태로 만들어진 현미경이 등장했다. 이 현미경은 주로 해양 ...2024.11.08
-
지르코니아 시편제조 물성측정2024.10.281. 서론 1.1. 실험 목적 2016년 1학기에 세라믹스 화학을 통해 이론으로 배웠던 지르코니아와 시편을 소결할 때 생기는 미세구조 변화에 대해 직접 실험하여 이해하고,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구조를 관찰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는 순수한 지르코니아가 가지고 있는 결정구조 변화에 따른 부피 증가로 인한 응력 발생과 기계적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이트리아(Y2O3)를 첨가하여 안정화시킨 지르코니아이다. 순수한 지르코니아는 온도에 따라 단사정계, 정방정계, 입...2024.10.28
-
지르코니아 시편 제조 및 물성 측정2024.10.28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2016년 1학기에 세라믹스 화학을 통해 이론으로 배웠던 지르코니아와 시편을 소결할 때 생기는 미세구조 변화에 대해 직접 실험하여 이해하고,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구조를 관찰하는 것이다. 1.2. 이론적 배경 1.2.1. 지르코니아 지르코니아는 원소 주기율표상으로 티타늄 쪽에 속해 있으며 지르코늄과 지르코니아는 티타늄이 가지고 있는 생체친화적인 성질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지르코니아라는 것은 지르코늄의 산화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지표상의 광물질들은 각각의 독특...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