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간암 케이스2024.10.091. 간의 해부생리 1.1. 간의 구조 간은 횡격막 아래 우상복부에 위치한 인체에서 가장 큰 소화기관의 장기로 체중의 2.5%를 차지한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구분되며 뒷면에는 H모양의 작은 두 엽인 꼬리엽과 네모엽이 있다. 우엽이 좌엽보다 5배 정도 부피가 크며 사이에는 간동맥, 문맥, 쓸개관, 림프관 등이 있다. 융기된 윗 부분은 우측 횡격막 아래 붙어있고 다른 장기와는 다르게 간동맥과 문맥으로부터 이중으로 혈액의 공급을 받는다." 1.2. 간의 기능 간은 신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서 간 기능 저하...2024.10.09
-
전이 간암 케이스2024.09.0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간은 혈류량이 많고 장기의 크기가 크며, 주요한 복부 장기로부터의 문맥계로 배액되기 때문에 다른 장기로부터 악성종양이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전이성 종양들은 임상증상이나 검사실 검사에 의해 발견되기 전에 이미 많이 진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대부분 4기로 판정을 받는다. 이미 다른 장기가 원발부위로 암세포가 발견되었고 타 장기로 전이된 시점은 수술과 같은 절제술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 등 다른 표준 암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타 장기로부터 전이되어...2024.09.04
-
간암항암요법2025.02.061. 간암의 정의와 특성 1.1. 원발성 간암과 전이성 간암 원발성 간암과 전이성 간암이다. 원발성 간암은 간세포나 담관 또는 양측에 모두 생길 수 있다. 간의 혈관조직에 침범하여 출혈을 유발하고, 혈액순환을 차단하여 간 조직에 괴사를 일으킨다. 원발성 간암의 주요 전이 부위는 폐이지만, 부신, 비장, 척추, 신장, 난소, 췌장으로 전이되기도 하고, 담낭, 장간막, 복막, 횡격막으로 직접 전파되기도 한다. 정상적인 간에서는 간세포암이 발생하지 않으며, 간의 바이러스 감염이나 간 손상이 있을 때 발생한다. 전이성 간암은 원발성 간암...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