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등전위선 측정2024.10.091. 등전위선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도체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위에 등전위선을 찾고, 전기장과 등전위선에 관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등전위선과 전기력선의 관계, 그리고 전기장의 방향과 전위의 관계 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1.2. 실험 원리 및 이론 1.2.1. 전기장과 전위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한다. 시험전하 Q가 이 전기장 내에서 힘 F를 받을 때, 그 점에서의 전기장은 E=F/Q로 정의된다. 전기장 내에는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이 존재...2024.10.09
-
인장시험목적2024.11.061. 인장시험 1.1. 인장시험의 정의 인장시험은 재료를 일정한 속도로 축방향으로 당겨서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내는 시험이다. 재료의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 등의 기계적 성질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재료 선택 및 제품 설계 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장시험은 간단하면서도 표준화가 잘 되어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시험 방법이다. 1.2. 인장시험의 목적 인장시험의 목적은 재료에 인장하중이 가해졌을 때 변형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여 재료의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재료의 기...2024.11.06
-
등전위 실험2024.09.261. 등전위선 실험 1.1.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의 목적은 전기장과 등전위선에 대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체판에 전류를 흐르게 하고, 검침봉을 이용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 지점을 찾아 점을 찍고 연결하여 등전위선을 그리는 것이 실험의 주된 목표이다. 이를 통해 전기장과 등전위선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등전위선을 그리는 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1.2. 실험 원리 등전위선 실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전기장과 등전위선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기장 내에는 전위가 같은 점들이 존재하며, 이 점들을 연결하면 등전위...2024.09.26
-
일반물리학 11판 15장2024.09.271. 등전위선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도체판(또는 전해질)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위에 나타나는 등전위선을 그리고, 전기장과 등전위선에 관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1.2. 실험 원리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전하)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한다. 전하량 q의 하전입자가 전기장 내에서 힘 F를 받을 때, 그 점에서의 전기장 E는 E=F/q로 정의된다. 한편, 그 점의 전위 V는 단위전하당 위치에너지로 정의된다. 전기장 내에는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이 존재한다. 이 점들을 연결하면 3차원에서는 등전위면...2024.09.27
-
전기력선2024.09.161. 전기장과 전기력선 1.1. 전기장과 전기력선의 개념 전기장과 전기력선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전기장은 전하가 만들어내는 공간적인 힘의 장으로, 전하로 인해 생기는 힘의 영향이 미치는 공간을 말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단위 전하당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로 정의된다. 전기장의 방향은 양(+)전하가 받는 힘의 방향과 같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을 화살표로 시각화한 것으로, 전하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전하로 향하는 선이다. 전기력선은 전하가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전기장의 세기는 전기력선의 밀도에 비례한다. 즉, 전기력선이 조밀...2024.09.16
-
일반물리실험2 등전위선 측정2024.09.24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도체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위에 등전위선을 찾고, 전기장과 등전위선에 관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번 실험을 통해 대전체가 그 주위 공간에 전위를 형성하는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장 내에 놓인 도체의 표면이 등전위를 이루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위, 전기장, 등전위선 등의 개념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실험 장비 실험 장비에는 등전위선 측정장치, 검류계, DC 전원 공급장치가 사용되었다. 등전위선 측정장치는 ...2024.09.24
-
일반물리실험2 등전위선2024.09.201. 실험 목적 1.1. 전도성 종이 위에 금속 전극을 배치하고 등전위선과 전기력선을 그려봄으로써 전위와 전기장의 관계 이해 전도성 종이 위에 금속 전극을 배치하고 등전위선과 전기력선을 그려봄으로써 전위와 전기장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전도성 종이 위에 금속 전극을 배치하고 전원을 연결하면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 전기장 내에서 등전위선과 전기력선을 측정하면 전위와 전기장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등전위선은 전위가 동일한 점들을 연결한 선으로, 전기장 내에서 전하를 등전위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은 0이 된다. ...2024.09.20
-
등전위선 측정2024.09.201. 실험 개요 1.1. 실험 제목 등전위선 측정 실험이다. 1.2.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도체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위에 등전위선을 찾고, 전기장과 등전위선에 관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하는데, 이 전기장 내에 있는 시험전하에는 일정한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 지점에서의 전기장의 크기는 힘과 시험전하의 비로 정의된다. 한편 그 지점의 전위는 단위전하당의 위치에너지로 정의된다. 전기장 내에는 전위가 같은 점들이 존재하고, 이 점들을 연결하면 등전위선을 얻을 수 있다....2024.09.20
-
중앙대학교 등전위선 측정 결과 보고서2024.09.231. 실험 목적 및 배경 1.1. 대전체의 전위 형성 대전체에 의해 주위 공간에 형성되는 전위는 다음과 같다. 대전체(전하량 Q)를 중심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지점에 형성되는 전위는 V=kQ/r로 정의된다. 여기서 k는 쿨롱 상수이다. 즉, 대전체에 의해 주위 공간에는 전위가 형성되며, 거리에 반비례하여 전위의 크기가 변한다. 이때 전위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을 등전위선이라고 한다. 등전위선은 대전체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형태를 띠며, 대전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전위가 변하게 된다. 대전체에서 멀어질수록 전위의 크기...2024.09.23
-
등전위 실험 결과2024.09.231. 등전위선 실험 결과 및 분석 1.1. 측정 및 분석 1.1.1. 등전위선 그래프 원형전극의 등전위선 그래프는 전하에 가장 가까운 측정 전압인 0.3V와 0.7V에서 가장 곡선의 굴곡이 크고, 중앙으로 갈수록 직선 형태를 띤다. 0.4V와 0.6V도 미세하게 곡선의 형태를 띄어야 하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0.4V도 직선형태이다. 이는 점을 찍을 때 발생한 여러 가지 오차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막대전극의 등전위선 그래프에서도 가장 가까운 전극일수록 곡선의 굴곡이 크지만, 원형전극보다는 그 크기가 덜하다. 이는 막대전극이 원형전...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