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3개
-
소신호 소스 공통2024.10.301. 소신호 소스 공통 FET 교류증폭기 실험 1.1. 실험 개요 1.1.1. 실험 목적 소신호 소스 공통 FET 교류증폭기 실험의 목적은 소신호 소스 공통 FET 교류증폭기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직류 및 교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실제 이론값과 비교 고찰하며, 증폭기의 전압이득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번 실험에서는 JFET이 아닌 MOSFET에 대한 원리와 이론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1.2. 실험 원리 1.1.2.1. 소신호 소스 공통 교류 증폭기 소신호 소스 공통 교류 증폭...2024.10.30
-
교류증폭기의 주파수 응답특성2024.10.251. 교류증폭기의 주파수 응답특성 1.1. 실험 목적 캐패시터 결합 교류증폭기의 전압이득과 위상지연이 저주파 영역 및 고주파 영역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 실험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저주파 영역에서는 결합 및 바이패스 캐패시터들의 영향으로 인해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이 변화하고, 고주파 영역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내부 기생 캐패시턴스가 주파수 응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교류증폭기의 전체 주파수 응답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1.2. 이론 1.2.1. 교류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1...2024.10.25
-
연산증폭기 비선형 회로 실험2024.11.271. 연산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응용 회로 1.1. 비교기(Comparator) 비교기(Comparator)는 연산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대표적인 응용 회로이다. 비교기는 입력 전압이 어떤 일정 레벨을 넘는 것을 감지하는 회로이다.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신호 전압 Vin을, 반전 입력단에 기준 전압 VREF를 인가하면 입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지 작은지를 검출할 수 있는 전압 검출기를 구현할 수 있다. 회로에 궤환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산 증폭기의 출력은 입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이에 따라 포화...2024.11.27
-
아주대학교 전자회로 실험 보고서2025.03.05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연산 증폭기(OP Amp)의 이득에 영향을 미치는 부궤환(negative feedback) 루프의 영향을 이해하고, 반전(inverting) 증폭기와 비반전(non-inverting) 증폭기의 사용을 익히는 것이다. 연산 증폭기(OP Amp)는 두 개의 입력단(-IN, +IN)과 한 개의 출력단(OUT)을 갖는 단위 소자이다. 입력과 출력은 V_out = A_v(V_+in - V_-in)의 관계를 가지고 두 입력 신호의 전압차를 증폭하는 차동 선형 증폭기이다. 연산 증폭기라고 불리...2025.03.05
-
PP^T2024.11.061.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 1.1. 실험목적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 실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미적분기의 동작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연산증폭기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출력전압으로 나타내는 회로로, 이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의 동작을 파악하고자 한다. 미분기는 입력전압을 미분하여 출력으로 내보내고, 적분기는 입력전압을 적분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산증폭기 기반의 미분기와 적분기 회로의 동작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첫 번째 목적이다. 둘...2024.11.06
-
Project 결과보고서 인하대 기초실험22024.12.171. 2단 CS Stage 설계 1.1. 실험 과정 및 결과 1.1.1. 2단 CS Stage 회로 설계 2단 CS Stage 회로 설계는 다음과 같다. M1의 출력 전압은 커패시터를 거쳐 M2의 Gate에 연결된다. 이때 과 의 비율에 의해 voltage dividing을 수행한 전압이 M2의 Gate에 인가된다. 이 때 커패시터는 AC Coupling Capaciotor로 AC 신호만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크기는 입출력 전압의 크기가 잘 관찰되는 10nF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M1의 출력 전압이 M2의 Gate에 인가...2024.12.17
-
2단 공통 소스 증폭기 결과보고서2024.12.171. Common-Source Amplifier Common-Source Amplifier는 MOSFET 증폭기의 기본적인 구조로, 게이트와 소스가 공통 연결된 형태이다. 이 증폭기는 단일 단 증폭기로 사용되거나 다단 증폭기의 기본 블록으로 활용된다. Lab 1. CE Stage DC Transfer 특성 실험에서는 Tinkercad를 이용하여 CE Stage 회로를 설계하고, 입력 전압 Vgs를 0~5V 범위에서 변화시키며 Vds, Id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Vgs가 2.7V 부근에서 가장 큰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2024.12.17
-
Op amp 비교기2024.12.201. 연산증폭기(Op-Amp)의 특성과 비교기 회로 1.1. 연산증폭기의 기본 특성 1.1.1. 전압 이득 연산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무한대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경우 전압 이득은 무한대로 가정된다. 이는 두 입력단자 사이의 전위차를 극한까지 증폭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입력 전압의 크기가 아무리 작더라도 출력 전압은 무한히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연산증폭기는 완전히 이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전압 이득이 무한대가 되지는 않는다. 실제 연산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수만에서 수십만 정도의 유한한...2024.12.20
-
전자회로실험 vga2025.03.241. 전자회로실험 VGA 1.1. 실험 개요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VGA)는 입력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전압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이다. 연산 증폭기와 저항 피드백을 이용하면 디지털 신호에 따라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인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의 크기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VGA를 통해 원하는 신호 레벨로 증폭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입력 신호에서 원하는 신호만을 선별하기 위해 아날로그 필터가 필요하다. VGA의 전압이득은 1 + R1/R2로 주어지...2025.03.24
-
부산대 필터회로2025.03.221. 필터회로의 이해 1.1. LPF와 HPF 회로 설명 LPF(저역통과 필터)와 HPF(고역통과 필터)는 각각 입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 회로이다. LPF는 입력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걸러내어 출력에는 저주파 성분만을 남기며, HPF는 입력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차단하여 출력에는 고주파 성분만을 전달한다. LPF의 경우 RC 소자를 이용한 간단한 능동 필터 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R1과 C1을 통과하면 고주파 성분이 차단되고 저주파 성분만이 통과하여 출...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