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투약 오류 예방 방법과 신규간호사 교육2025.02.131. 서론 1.1. 투약 오류와 그 중요성 투약은 간호업무의 중요한 부분이며 간호 수행의 가장 높은 위험 영역 중 하나이다. 투약은 간호사의 업무 영역 중 가장 수행 빈도가 높고, 간호활동시간의 40%가 소요되는 업무이다. 간호사는 정확한 투약을 했는지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므로, 이러한 투약간호의 수행이 매우 중요하다. 투약오류란 보건의료전문가와 환자, 소비자의 통제 하에서 약물이 부적절하게 사용되거나 또는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예방 가능한 사건으로, 약물사용의 전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다. 투약오류는 관련 ...2025.02.13
-
투약오류 경위서2024.10.231. 투약 오류 사례 분석 1.1. 사례 1: 자동약물주입기 실수로 인한 환자 사망 체중감소, 식욕부진, 변비, 복수나 가스로 인한 복부팽창 등 소화기 증상을 보여 서울 S병원을 찾은 A씨는, 위내시경과 조직검사결과 등을 실시해 보르만 4형(Borrmann 4형) 위암진단을 받았다. 담당의사는 약물자동주입기로 바소프레신(vasopressin)을 9cc/hr속도로 투여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담당 간호사가 약물자동주입기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투약속도를 70cc/hr로 잘못 입력해 과량 투여됐다. 이는 47분여가 지난 후 담당 간호사 ...2024.10.23
-
표준진료지침2025.08.011. 서 론 표준진료지침은 동일 질환에 대해 동일한 치료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의료 제공의 표준화를 유도한다. 급성 심근경색증과 같은 중증 질환의 경우, 진단과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적정한 치료 수준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의 개인적 능력에 따른 편차를 줄이고 진료의 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들은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에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표준진료지침의 적용은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면서도 의료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표준진료지침...2025.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