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국의 불교 수용과 역사적 의미
1.1. 삼국 불교의 성격
1.1.1. 전륜성왕과 정법치국 사상
전륜성왕은 불교경전에 제시된 가장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이다. 평범한 제왕이 아니라 그의 제도 하에서 절도, 폭력 등의 사회악이 사라지고 모두가 평등한 권리 및 정치적·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사회를 구현한 도덕적 지배자를 의미한다. 세계 곳곳에 펼쳐지는 그의 온화한 영향력은 전쟁과 같은 폭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법을 순수하게 적용한 것에서 기인한다. 왕이 덕(德)을 갖추었다고 해서 이상적인 통치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부처의 가...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