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철근콘크리트의 복근보의 설계강도2024.10.021. 서론 1.1. 보의 정의와 종류 보는 건축물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구조부재이다. 보에는 크게 단근보와 복근보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단근보는 인장측에만 철근보강이 되어 있는 보이다. 단근보를 사용하면 압축내력과 철근의 인장내력을 계산하기 편리하고, 중립축의 위치, 저항모멘트를 구하기 수월하다. 그러나 실제 건축물에 많이 쓰이는 보는 복근보이다. 복근보는 보의 인장측뿐 아니라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치해서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보이다. 복근보는 단근보에 비해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이 우수하...2024.10.02
-
토질역학 10장2024.11.121. 압밀 시험 1.1. 시험 목적 압밀 시험의 목적은 흙 시료를 전단상자에 넣어 수직·정하중으로 압밀-배수시킨 후 전단파괴하여 파괴과정 중 저항력을 측정하고, 변형-응력 관계 그래프를 작성함으로써 파괴강도, 잔류강도 및 한계상태 간극비 등을 구하고, Mohr-Coulomb 파괴규준의 강도정수인 점착력(c)과 내부마찰각(φ)을 제시하는 것이다. 1.2. 시험 원리 직접전단시험은 흙 시료를 전단상자에 넣어 수직·정하중으로 압밀-배수시킨 후 전단파괴하는 실험이다. 이를 통해 파괴강도, 잔류강도 및 한계상태 간극비 등을 구하고, Moh...2024.11.12
-
철근콘크리트 복근보 설계2024.09.051.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 1.1. 보의 파괴 형태 1.1.1. 휨파괴와 전단파괴 철근콘크리트 보의 파괴 형태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휨파괴이고, 두 번째는 전단파괴이다. 휨파괴는 보의 인장측 철근이 항복하면서 시작되는 파괴 형태이다. 이는 보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균열이 발생하고, 균열부의 콘크리트가 파괴되기 시작하면서 철근이 항복하게 되어 결국 보가 전체적으로 파괴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파괴 전에 보의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사전에 파괴 징후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