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흙의 전단강도2024.10.101. 서론 1.1. 개요 직접전단시험은 흙 공시체에 여러 가지 크기의 수직응력을 주어 가면서 전단응력을 가해서 어느 정해진 면에서 전단파괴를 발생시켜, 그때의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에 관한 Coulomb의 법칙에 의해서 흙의 내부마찰각(φ)과 점착력(c)을 구하고, 필요에 따라 전단 중에 생기는 체적과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흙의 변형에 관한 정수를 구한다. 이 시험은 배수조건을 철저히 조절하지 못하고, 전단 시 간극수압을 측정할 수 없으며, 파괴가 일어나기 전의 응력상태를 모르는 점 등 결함이 있으나, 시험방법과 조작이 간단하고 시...2024.10.10
-
토질역학 9장2024.11.201. 토질실험 1.1. 지반조사 방법 1.1.1. 개요 현장 지반조사는 구조물 기초지반의 특성을 파악하고 구조물을 건립한 후의 거동을 예측하는 데에 필요한 제반 지반정보를 얻기 위하여 현장에서 실시하는 지반 조사를 총칭한다. 철저한 지반조사를 실시하여만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을 건설할 수 있으며 시공중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들을 예측할 수 있다. 현장 지반조사에서는 지층의 두께, 연속성, 횡방향 분포현황, 암반의 위치, 지반의 종류, 지반의 물성 및 역학적 성질, 현장의 지하수 상태, 주변환경 및 기존 구조물의 상태 등을 중점적...2024.11.20
-
토질 전단실험2024.11.071. 실험 개요 1.1. 배경 및 목적 본 실험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직접전단시험은 흙 공시체에 여러 가지 크기의 수직응력을 주어 가면서 전단응력을 가해 전단 중에 생기는 체적과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흙의 변형에 관한 정수를 구하는 실험이다. 이 결과는 토압계산, 사면의 안정계산, 또는 구조물 기초의 지지력 계산 등에 이용된다. 본 실험의 목적은 흙 시료를 전단상자에 넣어 일정한 수직하중으로 압밀-배수시킨 후에, 일면 전단파괴한다. 파괴 과정의 변형에 따른 저항력 실측자료로 변형-응력 관계 그래프를 그려서 파괴 및 잔...2024.11.07
-
점성토와 사질토의 공학적 특성 및 강도 분석2024.10.181. 점성토와 사질토의 공학적 성질 개요 1.1. 점성토와 사질토의 공학적 성질 차이 점성토와 사질토의 공학적 성질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점성토는 투수성이 낮기 때문에 압축에 의한 밀도증가 및 전단강도 증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사질토는 힘을 가하면 투수성이 커서 단시간에 압축이 일어나고 밀도증가 및 전단강도가 커진다. 점성토는 면모구조와 이산구조의 특징을 가지며, 담수 중에 퇴적되어 얇고 두꺼운 입자들이 서로 강한 전기력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투수성이 낮고 지지력이 크다. 반면 사질토는 단립구조와 봉소구...2024.10.18
-
암반비탈면 파괴유형2024.08.291. 비탈면 붕괴의 원인과 형태 1.1. 토사 및 리핑암 비탈면의 붕괴 원인 및 형태 1.1.1. 붕괴 원인 토사 및 리핑암 비탈면의 붕괴 원인은 전단강도 감소(저항력 감소)와 전단응력 증가(작용력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단강도 감소(저항력 감소)의 원인으로는 수압 증가, 다짐 불충분(쌓기 비탈면),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미세균열, 동토나 빙결렌즈의 융해, 느슨한 토립자의 진동, 함수비 증가에 따른 흙의 단위중량 증가, 그리고 지진 등에 의한 진동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