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항응고요법을 받는 심방세동 환자2024.10.171. 심방세동의 정의 및 특성 1.1. 정의 심방세동은 심방 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로,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1.2. 특징적 증상 심방세동은 심방 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2024.10.17
-
제세동기2024.09.281. 제세동기(Defibrillator) 1.1. 제세동기의 개요 제세동기(Defibrillator)란 심장의 전기적 충격을 전달하는 장비로,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이나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등의 치명적인 부정맥이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부정맥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한다. 전기적 충격요법에는 심율동 전환과 제세동이 있다. 제세동은 심장의 흥분주기와 관련없이 강력한 전기적 자극(unsynchronized countershock)을 심근에 전달하는 과정으로 심실세동 등...2024.09.28
-
심실세동 케이스 사례2024.11.191. 심실세동 1.1. 정의 심실세동이란 심실 벽의 여러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실이 단지 떨고 있는 전기적인 극도의 흥분 상태이다. 심박출량이 없으므로 맥박도 촉진할 수 없으며 호흡도 멈추고 의식도 없는 임상적으로 사망단계라고 할 수 있다. 3-5분 내에 즉각적인 응급치료로 효과적인 심실수축이 회복되지 않으면 뇌와 심장 등의 비가역성 변화로 사망하게 된다. 심전도상 P파는 볼 수 없으며 PR간격, QRS복합과 T파를 감별할 수 없는 불규칙한 세동파(300~600회/분)가 반복된다. 1.2. 원인 심실세동의 주요 원인은 급성 심근경...2024.11.19
-
ICD 간호2024.11.131. 서론 응급 상황에서 대상자에게 어떠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았는데 응급상황에 놓인 대상자를 위해 빠르고 정확한 조치를 취해주어야 하는 만큼 관련 응급간호처치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고자 제세동과 심장리듬전환술의 비교, 기관내 삽관 및 유지 간호에 대해 조사해보기로 하였다. 심실세동과 맥박이 없는 상태를 치료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제세동,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 치료에 활용되는 심장리듬전환술, 그리고 산소공급과 분비물제거, 환기를 확보하기 위한 기관내 삽관 및 유지 간호 등을 살펴봄으로써 응급상황에서...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