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발작 간호 및 신경과 검사 방법2024.09.191. 발작의 정의 및 분류 1.1. 발작의 정의 발작이란 평소에 보이지 않던 이상한 느낌, 행동, 의식의 장애나 소실, 신체의 일부나 전체가 떨거나 뻣뻣해지는 것 등을 의미한다. 발작은 뇌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학적 증상으로, 이러한 증상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일시적으로 지속된다. 발작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전신적 경련, 의식 소실, 근육 경직, 감각 이상 등이 대표적인 발작 증상이다. 정상적인 뇌 기능이 일시적으로 방해를 받아 발생하는 발작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으며, 이에 ...2024.09.19
-
심전도2024.10.141.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1.1. 정의와 목적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시간 경과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심장은 심장벽을 구성하는 근육이 자극전도계의 전기적 자극을 받아 규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몸표면의 전극에서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심전도이다. 심전도의 주요 목적은 심장 기능 및 리듬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의 리듬 장애, 심근 손상, 전해질 불균형, 약물의...2024.10.14
-
심전도 해석과 간호: 성인간호학 EKG 문헌고찰2024.12.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크게 우심부와 좌심부로 구성되며, 각각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우심방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받아들이는 부위이다."" 좌심방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을 받아 좌심실로 보낸다."" 우심실은 삼첨판을 통해 우심방에서 흘러들어온 혈액을 폐동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좌심실은 승모판을 통해 좌심방에서 받은 혈액을 대동맥으로 내보내어 전신순환을 담당한다."" 1.1.2. 판막 심장에는 판막이 있으며, 이 판막들...2024.12.16
-
심전도의원리2024.08.311.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전기 전도계 1.1. 심장의 전기 전도계 1.1.1. SA node(동방결절, Sinoatrial node) SA node(동방결절, Sinoatrial node)는 정상적으로 심박동을 시작하는 부위로 박동조율기(pacemaker)라고 불린다. SA node는 우심방과 상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분당 60-100회로 심박동을 조율한다. SA node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조절을 받아 심박동수를 조절한다. 만약 SA node에 문제가 생기면 하부의 다른 pacemaker가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2024.08.31
-
EKG 리듬2025.01.291. EKG 리듬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심장은 두 개의 심방(atrium)과 두 개의 심실(ventricle)로 구성되어 있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전신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받아 들이며, 얇은 벽으로 되어 있다. 우심실(right ventricle)은 폐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며, 폐동맥판을 통해 이 혈액을 폐동맥으로 보낸다. 좌심방(left atrium)은 폐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받아 들이며,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을 받아들인다. 좌심실(left ventricle)은...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