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애정소설 유형2024.10.301. 고소설 개관 1.1. 고소설의 정의와 범주 옛 시대에 우리나라에서 우리의 문자로 써 내려간 소설을 "고전소설" 또는 "고소설"이라 한다. 주로 조선 시대의 소설을 뜻하며, 고소설의 시초를 김시습의 『금오신화』로 보기도 하고, 최치원의 『나말어초』를 시초라 보는 시각도 있다. 고소설은 신소설과 구분되는데, 이를 구분하기 위해 "고소설" 또는 "고대소설"이라 칭하였다. 소설의 진화 과정이 고소설 → 신소설 → 현대소설로 전개되었다고 볼 때, 고소설은 그 첫 단계로서의 의미가 있다. 고소설은 설화나 서사무가와 구분되며, 산문으로 ...2024.10.30
-
이생규장전2024.11.031. 《금오신화》와 김시습 1.1. 《금오신화》 작품 소개 《금오신화》는 김시습이 창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傳奇)소설집이다. 전기소설은 문사들이 화려한 변체에 가까운 문언으로 남녀의 이합이나 신이한 이야기 등의 기사를 저술한 작품들을 가리킨다. 《금오신화》에는 〈적토마〉, 〈만복사저포기〉, 〈속미인곡〉, 〈구운몽〉, 〈이생규장전〉 등 다섯 편의 전기소설이 수록되어있다. 이 가운데 〈적토마〉, 〈속미인곡〉, 〈구운몽〉은 남녀의 이합을 다룬 것이며,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에서는 자아의 이념이나 현실비판을 일방적으로 전달하...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