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전기안전기술사2024.10.131. 전기설비의 종류와 전기설비기술기준 1.1. 전기설비의 법적 분류 전기설비의 법적 분류에 따르면, 전기설비는 크게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일반용 전기설비, 자가용 전기설비로 구분된다. 먼저, 전기사업용 전기설비는 전기사업자가 전기사업에 사용하는 전기설비로, 발전소, 송전선로, 변전소 등의 전력 생산 및 분배 관련 전기설비를 포함한다. 이는 전기회사와 직결되는 전기설비이다. 다음으로 일반용 전기설비는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소규모의 전기설비로, 공장이나 빌딩, 사무실, 상점 등에 설치되어 제한된 구역에서 전기를 사용하기...2024.10.13
-
공조냉동산업기사2024.09.011. 공기조화시스템의 이해 1.1. 공기조화시스템의 정의 공기조화시스템은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의 약자로 Heating(난방), Ventilation(환기), Air Conditioning(공기조화)를 뜻한다. 사람 또는 물품에 공기조화의 4대 요소인 온도, 습도, 기류, 청저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가장 알맞은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난방 설비는 실내공기의 가열에 의한 온도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에 만족 시키지 못한다. 이에 비해 공기조...2024.09.01
-
전기공사산업기사2024.09.021. 전기설비의 종류와 접지공사 1.1. 전기설비의 분류 1.1.1. 주거용 전기설비 주거용 전기설비는 가정용으로 설계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상업용 또는 산업용 설비보다 낮은 전압 및 정격 전력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설치에는 조명, 콘센트 및 기기용 배선이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단상 전원이 필요하다. 가정용 전기 설비의 경우 주거용 건물에 설치되는 전기 시설물과 장비를 말한다. 이에는 일반적으로 조명, 콘센트, 소형 가전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대부분 단상 220V의 전원을 사용한다. 주거용 건물 내부의 전기시설물과 전기기기 등이 주거...2024.09.02
-
고층빌딩 설계2025.03.161. 고층 건물 설계 1.1. 개요 고층 건물은 전 세계 도시 경관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인구 밀도를 수용하기 위해 도시가 수직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이러한 구조물과 관련된 화재 안전 위험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고층 건물은 높이, 복잡한 구조 설계 및 집중된 점유로 인해 화재 안전과 관련된 고유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심각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의 주목할만한 화재 사례들은 고층 건물이 화재에 부적절하게 대비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재난을 강조한다. 이러한 사...2025.03.16
-
수배전반 화재2024.09.231. 수배전반 및 전기설비 개요 1.1. 수배전반의 정의와 특징 수배전반은 전기설비에서 전력의 수전, 변압, 분배 및 보호를 위한 전기기기들이 함께 설치된 하나의 장치이다. 수배전반은 정의와 특징을 다음과 같이 갖는다. 첫째, 수배전반은 수전전압의 전압을 필요한 부하 전압으로 변환하고 전력을 각 회로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고압의 전압을 저압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와 각 회로로 전력을 분배하는 개폐기 및 차단기 등이 수배전반에 설치된다. 둘째, 수배전반은 전기설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기기이다. 수배전반...2024.09.23
-
여자 돌입전류2025.06.031. 여자 돌입전류 개요 1.1. 돌입전류 발생 원인 변압기나 전동기와 같은 유도성 부하를 처음 투입할 때 발생하는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돌입전류라고 한다. 돌입전류는 부하의 기동 시 발생하는데, 기동 시 부하의 임피던스가 낮아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다. 변압기의 경우 자성체 코어의 잔류자속에 의해 돌입전류가 발생한다. 잔류자속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변압기를 투입하면 자기회로에 의해 큰 돌입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전동기의 경우 기동 시 회전자의 임피던스가 낮아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콘덴서의 경우에도 투입 시 충전전류로 인한...2025.06.03
-
전기기능사 정리2025.05.311. 전기기능사 자격증 개요 1.1. 전기기능사의 정의 및 역할 전기기능사는 전기설비의 운전, 점검, 보수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기술 인력이다. 이들은 전기기기와 배전설비, 전기공사 및 관련 법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 시스템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담당한다. 전기기능사는 발전소, 변전소, 공장, 건물 등의 전기 설비를 운영하고 관리하며, 고장 수리, 예방 점검, 전기 시스템 개선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기 안전 수칙 교육, 전기 관련 기술 자문 등의 업무도 담당한다. 전기기...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