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주시경의 생애와 업적2024.09.181. 근현대 역사에 영향을 끼친 인물 1.1. 김구 김구는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로서 호는 백범이다.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18세때 동학에 입교하여 동학 혁명이 일어난 해에는 해주동학군을 지휘하다가, 일본군에게 쫓겨 만주로 피신하였다. 1896년 귀국하여 명성황후를 살해한 일본에 복수하기 위해 일본군 중위를 죽이고 체포되었다. 그 후에도 일제에 항거하여 투쟁을 계속하다가 여러 차례 옥살이를 하였다. 3·1운동 후에는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임시 정부의 주석을 지내며 이봉창·윤봉길 등의 항일 의거를 지휘했으며, 장 제스의 국민 정...2024.09.18
-
윤동주 시인2024.09.251. 윤동주의 삶과 작품 활동 1.1. 윤동주의 어린 시절 윤동주는 1917년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북간도라는 특수한 지역에서 태어났다. 북간도는 일본이 조선을 보호국으로 삼고 수탈을 강화하자 많은 사람들이 일본의 지배를 피하거나 구국 운동을 위해 이주한 지역이었다. 간도에서는 조선을 지키고 조선의 민족성을 잃지 않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간도에 사는 우리 민족은 수많은 위협을 받으며 살아가야 했다. 간도라는 지역이 지닌 이러한 특성과 분위기는 윤동주가 특히 더 민족과 독립에 관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2024.09.25
-
이육사 절정 비평문2024.09.291. 이육사의 시 연구 1.1. 이육사 시의 사상과 정신 1.1.1. 향수의 정서와 실향의식 이육사는 18세에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떠돌이와 같은 생활을 하였다. 결혼 후에도 독립운동을 위해 국내외를 오가며 늘 떠돌아다녀야 했기에 고향에 대한 강한 그리움과 애착을 드러내는 작품이 다수 존재한다. 이육사의 시 32편 중에는 향수의 정서가 잘 드러나 있다. 안동, 대구, 서울 등지를 전전하였고, 일본과 중국 대륙에서도 항일 운동을 하며 피검, 투옥된 바 있는 그의 생애를 고려하면, 고향과 가정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깊었을 것으로 ...2024.09.29
-
바리공주를 읽고 느낀점 및 분석2024.09.281. 구비문학의 이해 1.1. 바리데기 신화 바리데기 신화는 불라국의 오구대왕과 길대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딸 중 마지막으로 태어난 딸인 바리 공주의 이야기이다. 불라국의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은 태평성대를 누리며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것이 유일한 걱정이었다. 그러던 중 늦게나마 일곱 딸을 얻게 되지만,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오구대왕은 마지막 딸 바리를 버리고자 했다. 하지만 바리는 흰 새의 도움으로 살아남게 되고, 자신을 버린 부모를 구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겪으며 모험에 나선다. 끝내 바리는 ...2024.09.28
-
이제야 참 조선인이 되었다2024.11.081. 김정한의 생애와 문학 1.1. 서론 김정한이 태어난 1908년은 일제 강점기로서 우리 민족이 억압당하는 암울한 시기였다. 이 시기에 삶을 영위한 사람 중에 조금이라도 깨어있는 의식으로 살아온 사람이라면, 특히 문학작품을 통해 정신세계를 표출하는 작가라면 이러한 반민족적 역사 속에서 살아온 삶을 남다르게 인식할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에 살았던 사람들이 모두 저항정신을 갖는다는 말은 아니다. 어두운 현실 속에서 한 평생 자기 자신을 굽히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정한은 스스로 자신의 삶을 반골...2024.11.08
-
이육사 강 건너간 노래2024.09.101. 서론 이육사는 1930년대 민족의 시인, 志節(지절)의 시인으로 이름이 높다. 그는 처음부터 남다른 시인이었다. 첫 출발이 문학이 아니었고 독립운동이었다. 짧은 일생을 독립운동에 바치다가 결국 감옥에서 옥사한 시인이다. 그에게는 뚜렷한 습작기가 없었다. 원래 목표가 문학이 아니었기 때문에 창작을 위한 수업이 거의 없었다. 대개 중학교 과정에서 뚜렷이 알려진 것이라고는 독립군 양성의 군관학교의 북경대학 사회학과 수업이 고작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의 연령으로나 정신적으로 보면 문학 수업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육사의 문학 수업은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