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고칼륨혈증2024.09.191. 전해질 불균형 1.1.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산증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탄산이 과잉된 상태이다. 이는 호흡근의 마비에 따른 환기 저하, 폐기종이나 마취제 등 연수의 호흡중추가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성 산증은 혈액완충제로 수 초 이내에 교정 가능하고, 수 시간 내에 신장은 수소이온을 배출하여 보상된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NH4)의 형성과 배출, 중탄산 이온(HCO3-)의 보유와 염소(Cl-)의 배출로 보상된다. 호흡성 알칼리증은 탄산의 과다한 소실이 있을 때 발생하며, ...2024.09.19
-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간호2024.10.141. 신생아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 1.1. 정의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임신 중 발병했거나 처음 확인된 내당능 저하를 말한다. 즉, 임신 기간 동안 발생한 당뇨병을 의미한다. 임신 중 혈당이 높아져 생긴 상태로, 임신 전부터 당뇨병이 있었던 것은 제외한다. 1.2. 원인 임신성당뇨병(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의 원인은 임신 기간 동안 태아가 모체의 고혈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이다. 태아의 췌장세포는 혈당 농도를 낮추기 위해 많은 양의 인슐린...2024.10.14
-
아동간호학 NICU 신생아 황달 사례 연구2024.10.091. 서론 1.1. 신생아 황달의 정의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의 몸에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많아지면서 피부와 눈 흰자위가 노랗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파괴될 때 나오는 물질로, 주로 간에서 대사되어 배출되는데, 신생아의 경우 간의 기능이 아직 미숙하여 빌리루빈 배출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신생아 황달은 일반적이고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관찰되는 질환으로, 신생아 시기에 발병률이 높고 적절한 치료를 적용하지 않으면 위험도가 높아지는 질환이다. 1.2. ...2024.10.09
-
hyperparathyroidism 병태생리2024.11.131. 부갑상선 질환 1.1. 부갑상선의 구조와 기능 부갑상선은 갑상선의 뒤에 위치하는 4개의 작은 샘이다. 부갑상선은 부갑상선호르몬(parathormone, PTH)을 분비하며, 이것은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상승시킨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에서 골재흡수를 촉진시켜 칼슘이 혈액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인다. 또한 신장에서는 칼슘을 재흡수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고, 인의 배설을 촉진하여 혈중 인의 농도는 감소시킨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신장에서 비타민 D를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비타민 D인 cal...2024.11.13
-
신생아 모체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 신체손상 위험성2025.01.1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생아의 건강은 산모의 건강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산모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질병은 신생아에게도 큰 위험을 줄 수 있다. 신생아는 성인에 비해 신체기능이 미숙하기 때문에 작은 질병도 치명적일 수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국내에서 4~6%의 유병률을 보이며, 당뇨가 있는 여성의 경우 임신이 어려워질 수 있고 모체와 영아의 사망률이 정상에 비해 높다. 따라서 산모의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당뇨병 산모가 출산한 신생아에 대한 적절한 간호와 관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2025.01.15
-
응급카트 물품2024.10.291. Emergency Cart 구성 1.1. 응급 약물 목록 1.1.1. 진경제 및 항경련제 아트로핀 주사제는 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십이지장궤양에서의 분비 및 운동 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마취전 투약, 유기인 살충제/부교감신경 흥분제 중독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아트로핀은 부교감신경 억제 작용으로 인해 동공확대, 시각이상, 두통, 어지러움, 구역, 구토, 삼킴곤란, 변비, 가슴 두근거림, 호흡장애, 배뇨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코다론 주사제는 심방성부정...2024.10.29
-
만성신부전 전해질불균형2024.08.251. 서론 1.1. 만성신부전의 정의와 특징 만성신부전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신장은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유지, 노폐물 배출, 호르몬 합성 등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만성신부전으로 인해 이러한 기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만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 다낭신 등이 있다. 이러한 질환들로 인해 사구체와 세뇨관의 손상이 누적되면서 신장 기능이 저하되고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하게 된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신기능이 50% 이하로 떨어지...202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