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세일해머노아2024.09.151. 모세오경의 이해 1.1.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는 다음과 같다. 모세오경은 원래 하나의 책으로 기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하나의 목적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세오경은 한 명의 저자, 즉 모세에 의해 기록되었다. 이는 모세오경 내에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후기 성경 저자들과 성경 전체 내에서 모세오경의 저작권이 모세에게 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세오경은 역사적인 서술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창세기 1-11장이 모세오경 전체에 대한 서론을 구성하고 있다. 모세오경의 저자는 모세이지만, 성령의 감...2024.09.15
-
성경 찬양 인물2024.09.171. 시편 서론 1.1. 저자 대다수 시편은 표제와 함께 저자를 밝히고 있으나 간혹 표제가 없거나 저자 미상인 시도 있습니다. 사실 시편은 상당 기간에 걸쳐 쓰여진 시들이 모아져서 편집된 것으로서 편집자들이 누구인지는 알지 못합니다. 다만 그들은 편집의 자격이 있다고 누구나 인정할 만한 사람들이었을 것입니다. 각 시편의 서두에 기록된 표제는 히브리 원문에 속한 것들은 아닙니다. 아마도 편집의 권위를 지닌 자들에 의하여 삽입되었을 것입니다. 그 진정성에 대해서는 내용과의 관련성을 상고해 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표제와 함께 기록된 ...2024.09.17
-
요한계시록2024.09.231. 요한계시록의 이해 1.1. 요한계시록의 저자, 목적, 주제 요한계시록을 기록한 저자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 중 한 사람인 세베대의 아들 사도 요한이다. 계시록 본문에 "[이] 책의 저자는 '요한'"이라고 명시되어 있다(계1:1,4,9; 22:8). 이 요한은 요한복음과 요한서신들의 저자와 동일한 사도 요한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책의 "제일 저자"는 하나님이라는 사실이다. 사도 요한은 밧모섬에서 직접 하나님의 계시를 보고 들었으며, 그 보고 들은 바를 기록했다(계1:11,19; 19:9). 이 책의 목적은 ...2024.09.23
-
신약성서 이해 일반서신 연구2024.10.061. 서신들의 배경과 개요 1.1. 히브리서 1.1.1. 저자 이 서신의 저자는 디모데(13:23)와 개인적인 관계가 있는 인물 중에서 찾아보아야 하겠다. 그런데 디모데와 개인적인 관계가 가장 깊은 사람은 바울이다. 그래서 바울 자신이 아니라면 바울의 동역자 가운데서 가능한 인물을 색출해 보아야 하겠다. ① 누가: 사도행전의 문체와 비교하여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래 바울이 히브리말로 기록한 것을 누가가 헬라말로 번역했으리라 했는데 히브리서는 번역문이 아니고 순수 헬라 원작이다. 그리고 신학 사상도 사도행적과는 판이하다. ②...2024.10.06
-
신약성서 이해 일반서신 연구2024.10.061. 히브리서 1.1. 저자 이 서신의 저자는 디모데(13:23)와 개인적인 관계가 있는 인물 중에서 찾아보아야 하겠다. 그런데 디모데와 개인적인 관계가 가장 깊은 사람은 바울이다. 그래서 바울 자신이 아니라면 바울의 동역자 가운데서 가능한 인물을 색출해 보아야 하겠다. ① 누가: 사도행전의 문체와 비교하여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래 바울이 히브리말로 기록한 것을 누가가 헬라말로 번역했으리라 했는데 히브리서는 번역문이 아니고 순수 헬라 원작이다. 그리고 신학 사상도 사도행적과는 판이하다. ② 로마의 클레멘트: 일찍이 오리게네스...2024.10.06
-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 인상깊은2024.09.231.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1.1. 책 '를 통해 본 저자의 과학 공부와 인문학의 융합 책 '를 통해 본 저자의 과학 공부와 인문학의 융합"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문과 출신인 저자 유시민이 과학 공부를 하면서 배웠던 내용을 바탕으로 인문학과 과학을 융합하여 풀어낸 작품이다. 저자는 그동안 정치, 경제, 역사, 헌법, 여행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 관련 책을 써왔지만, 이번에는 과학 영역까지 그 범위를 확장했다. 특히 유시민 작가는 이 책에서 과학을 통해 인문학의 담론을 새롭게 이해하고 성...2024.09.23
-
시편126:52024.10.291. 시편 개관 1.1. 저자 시편의 저자는 다윗을 위시한 여러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150편 중 다윗이 75편 가량, 솔로몬이 3편, 고라의 자손이 11편, 아삽이 12편, 헤만이 1편, 에단이 1편, 모세가 1편씩 각각 저작하였고 나머지 46편은 익명의 저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익명의 시편들 중 몇몇 작품은 신약 성경에서 다윗의 글로 인정되고 있지만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기가 힘들다. 이처럼 시편 저자들은 한결같이 여호와 신앙에 투철하였을 뿐만 아니라 탁월한 문학적 재능을 지닌 자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1.2. 기록...2024.10.29
-
대선지서 요약2024.11.081. 성경 이해 1.1. 성서란 무엇인가? 1.1.1.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서 성서는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동시에 인간의 산물이다. 성서는 긴 역사를 내포하고 있고 인간의 언어로 쓰여졌으며 인간들의 역사와 생활을 철저히 반영하고 있다. 성서 속에는 철학과 시와 노래와 역사와 문학이 담겨 있다. 이처럼 성서는 인간의 증언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성서는 단순히 하나님의 기계적 조작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니라 인간의 증언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처럼 성서는 인간의 시대적 산물이면서도 동...2024.11.08
-
시편23편 수사비평2024.12.101. 상징주의 문학 1.1. 상징주의의 정의와 배경 상징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문학과 예술의 운동이다. 상징주의는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났으며, 이성 중심적이고 구체적인 것보다는 감각과 정서, 상상력을 중요하게 여겼다. 즉, 상징주의는 표현이 불가능한 추상적인 사물들을 상징적인 언어로 발현하고자 했다. 상징주의의 어원은 시인이자 비평론자인 장 모레아스가 1886년 『피가로』지에 기고한 "상징주의 선언"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징(symbol)"이라는 단...2024.12.10
-
요한복음 강해2024.12.181. 서론 1.1. 작성 목적 이 문서의 작성 목적은 제공된 요한복음 관련 주석들을 바탕으로 요한복음의 저자, 목적, 구조 등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하고, 요한복음의 역사적·문학적·신학적 배경을 분석하는 것이다." 1.2. 문서의 구성 요한복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2. 문서의 구성'에 따르면, 요한복음에는 총 5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서론'(1:1-18)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구원 사역을 소개한다. 둘째, '요한복음 개관'에서는 저자, 목적, 구조 등을 다룬다. 셋째, '요한복음의 역...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