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식물채집과 동정 및 표본제작2024.09.271.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개요 1.1. 수생태계 건강성의 개념과 의의 생태계는 수량, 수질, 물리적 서식지 등 무생물학적 환경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내에서 이들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는 생태계의 독특한 구조와 기능으로 나타난다. 수생태계 건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화학적 수질과 안정적인 물리적 서식지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건강한 수체는 생태학적으로 온전하거나 교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화학적, 물리적 및 생물학적 총체성을 모두 포함하는 생태학적 총체성으로 표현된다. 건강한 ...2024.09.27
-
생활속의안전 족보2024.10.191. 해양생물학 1.1. 심해 유영 동물 심해 유영 동물은 태양광선이 다다르지 않고, 표층수와 섞이지 않는 깊은 바닷물에 서식하는 생물을 말한다. 이들은 극단적인 환경 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생리·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다. 심해 유영 동물 연구의 가장 큰 어려움은 샘플 채집의 어려움이다. 심해에서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고, 채집 과정에서 무게 증가와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생물 밀도가 낮아 실제 채집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심해 생물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다. 심해 동물이 처한 주요 환경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 환...2024.10.19
-
땅속에 사는 동물2024.10.141. 갯벌의 정의 및 생태적 가치 1.1. 갯벌의 정의 갯벌이란 "조석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으로 갯가의 퇴적물 벌판을 뜻하며 여러 조간대 중 연성저질조간대에 속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갯벌은 '개펄' 또는 '간석지'라고도 하며 연안습지의 일부분이다. 습지보전법에 정의된 내용에 따르면 연안습지는 간조와 만조의 차이로 강이나 호수, 바다 주변에 나타나는 공간으로, 내륙습지와는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바닷물이 땅으로 올라와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밀물'이라고 하며, 바닷물이 바다로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