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개
-
pneumonia pleural ef2024.09.111. 서론 1.1. 중환자실 입원 폐렴 환자의 현황 중환자실에 입원한 폐렴 환자들의 치료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중환자실 입원 폐렴 환자의 경우 일반 병동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높은 편이며, 평균 입원 기간도 더 길어 의료 자원 소모가 크기 때문이다. 최근 3년간 OO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폐렴 환자는 총 1,200명으로, 이 중 사망률은 약 25%에 달했다. 또한 평균 입원 기간은 18일로 일반 병동 폐렴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 10일보다 훨씬 길었다. 이처럼 중환자실 폐렴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은 만큼, 이들에 대한 ...2024.09.11
-
산소요법2024.09.251. 산소요법의 정의 산소요법은 정상인의 안정 상태 산소 소모량이 250ml/min인데 비해 산소 결핍증 치료를 목적으로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 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방법이다. 정상인의 경우 산소 공급이 중단된 후 6분 만에 폐에 보유된 산소가 모두 소모되어 세포가 저산소증에 빠지게 된다. 산소운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혈액 내 산소 함량, 심박출량, 혈색소 농도 등이며, 정상인의 경우 1분 동안 약 1000ml의 산소가 좌심실에서 말초로 운반된다. 따라서 산소요법은 산소 결핍증을 치료하고 적절한 ...2024.09.25
-
COPD2024.10.041. COPD 개요 1.1. COPD 정의 COPD는 기도에 폐쇄가 발생하여 기류의 속도가 감소하는 질병을 말한다. 이는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은 기류의 장애가 서서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PD는 주로 40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천식과 유사한 호흡곤란,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을 나타내다가 심해지면 폐의 기능을 악화시켜 사망에 이르게 한다. COPD의 주요 원인은 만성 흡연이며, 대기오염, 유해 직업환경 등도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유전적 요인인 α1-antitrypsin 결핍증도 일부 환자에서 원인이 되고 있다....2024.10.04
-
아동 울혈성심부전 간호과정2024.09.291. 심혈관계 질환 1.1. 선천성 심장질환 1.1.1. 정의 및 분류 선천성 심장질환은 출생 시부터 가지고 있는 해부학적 기형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심기능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임상적 결과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첫째는 울혈성 심부전이며, 둘째는 저산소혈증이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우심실 유출로 폐쇄질환(폐동맥 폐쇄, 폐동맥 협착 등), 좌심실 유출로 폐쇄질환(대동맥 폐쇄, 대동맥 협착 등), 심실 중격 결손, 심방 중격 결손, 팔로4징,...2024.09.29
-
IPF 간호과정2024.10.061. 서론 1.1. 사례연구 선정 이유 최근 공해, 미세먼지, 흡연으로 인해 COPD, 폐암, 천식 등 각종 폐질환 환자가 늘고 있기 때문에 호흡기 내과 병동 실습 중 폐렴 환자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많은 호흡기 관련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많이 있었고, 주로 분비물로 인한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발성 폐섬유증이라는 질환을 사례연구로 선정하게 되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실질의 섬유화가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희귀 질환으로 정확한 원인과 치료법이 없어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1.2. 문헌고찰 특발성...2024.10.06
-
A 받은 ARDS 성인호흡장애증후군 케이스 분석2024.09.301. 간호력 1.1. 환자정보 환자명은 박○○○이고, 나이는 74세, 성별은 남자이다. 학력은 중졸이며, 종교는 무교이고, 직업은 무직이다. 입원일은 2022년 9월 30일이며, 입원경로는 응급실이고, 진단명은 ARDS(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와 Miliary Tuberculosis(파종성 결핵)이다. 수술일은 2022년 10월 5일이며, 수술명은 기관절개술이다. 간호수행기간은 2022년 10월 8일부터 2022년 10월 12일까지이다. 1.2.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2.1. 정의 ARDS(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는 다양한 ...2024.09.30
-
폐색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분석2024.10.161. 서론 1.1. 사례 연구 선정 이유 사례 연구 선정 이유는 '사다리 타기'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시된 사례들을 조원들과 나눈 결과,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2. 폐색전증 질환 개요 2.1. 정의 폐 혈전색전증은 다리에 있는 굵은 정맥에 생긴 핏덩어리(혈전)가 떨어져 나온 후 혈류를 타고 돌아다니다가 가느다란 폐동맥 혈관 가지를 막음으로써 발생하는 증상이다.""폐동맥 가지가 핏덩어리로 막히고 막힌 부위에 공기가 들어와도 기체 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핏속의 산소가 부족해진다. 그리고 폐순환 중 오른쪽 심장에서 피를 보낼 ...2024.10.16
-
특발성 폐섬유증 간호과정2024.10.131.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1.1. 병태생리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은 폐의 간질조직에 미만성 염증반응과 섬유화를 조직학적 특징으로 하는 원인불명의 폐질환이다. 폐 간질조직의 염증반응과 섬유화에 의해 폐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된다. IPF의 병태생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폐포 상피세포의 손상이다. 이는 흡연, 바이러스 감염, 미세흡인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포 상피세포에 염...2024.10.13
-
copd케이스2024.11.131. 서론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기도가 폐쇄되거나 좁아져서 기도의 공기유통이 계속적으로 폐쇄되는 폐질환이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연구회'의 조사에 따르면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무려 7위에 랭크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위험성과 전체 인구 중 다수가 실제증상을 앓고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호흡기 질환과 증상이 비슷하기에 그냥 방치해버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에 COPD에 대해 더 공부해보고 싶어서 케이스를 선택하게 되었다. 2. COPD 개요 2.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2024.11.13
-
고위험신생아 간호과정2024.11.231. 고위험 신생아에 대한 간호 1.1. 사례 소개 김** 아기는 재태연령 34주 2일에 출생하였으며, 출생 시 체중은 1,910g이다. 출생 당시 whole body cyanosis, grunting, nasal flaring, chest retraction이 관찰되었으며 간헐절 tachypnea도 관찰되었다. 출생 당시 HR 100BPM 이상이었으나 activity/crying은 약하였다. 이에 출생 1분경에 T-piece resuctitator로 FiO2 30% apply를 실시하였다. 자가호흡이 약하여 transport i...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