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약물투약오류 사례 성찰일지 작성해줘2024.10.111. 서론 1.1. 의료사고 사례 개요 환자에게 투약할 약물에 대하여 정확한 확인을 하지 아니하여 심정지 저산소성뇌손상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한 사고에서 간호사의 업무상과실(업무상과실치사)이 인정된 사례이다. 2015년 3월 19일 오후 1시 50분경 인천 남동구 소재 ○병원 ○병동 ○호실에서, 오른손 소지 골절 접합수술을 받고 마취에서 깨어난 후 병동으로 돌아온 20세 박○○ 환자에게 간호사 김○○이 주사약을 투여하면서 주사약을 확인하지 않은 과실로 처방된 약물인 "모틴"이 아닌 "베카론"을 투여하여 같은 날 오후 1시 53분...2024.10.11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사례연구 - 심정지2024.12.151. 대상자 사례 분석 1.1. 일반적 정보 대상자는 58세 남성으로, 30년 이상 당뇨병(인슐린 하루 2회-9년간)과 만성 설사 병력이 있다.""응급실에 내원하기 전 한 달 전부터 기침이 있었고, 내원 이틀 전부터 기침이 더욱 심해졌으며, 내원 하루 전날 서울 관광 중 구토를 하였다."" 내원 당일 오전 6시 41분에 호흡 곤란으로 119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이송 중 과호흡 상태였다. 병원 도착 후 의식 저하 및 맥박 소실이 확인되어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다.""대상자는 30년 이상 흡연과 하루 1잔의 와인 섭취 습관이 ...2024.12.15
-
기도삽관 흡인 판례2024.10.101. 사례 요약 1.1. 법원 판례 개요 원고 강A1은 2007년 12월 2일 □병원에서 원고 조A2를 출산한 후 2007년 12월 9일 퇴원하여 산후조리원에서 지내다가 원고 조A2의 설사와 구토가 이틀간 지속되어 2007년 12월 16일 피고 병원 응급실을 내원하였고, 로타바이러스 장염 진단을 받고 수액요법 등의 치료를 받았다"이다. 피고 병원 소속 간호사인 소외 이C은 2007년 12월 19일 15:05경 원고 조A2에 대하여 혈액검사를 위한 채혈과 정맥주사의 교체를 시행하던 중 원고 조A2가 심하게 울면서 보채다가 청색증...2024.10.10
-
투약 요점정리2024.08.301. 서론 1.1. 사례 선정 이유 정확하고 안전한 투약 업무의 수행은 간호사의 기본적인 업무 중의 하나이다. 간호업무 중 투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간호 상황에서 투약오류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투약오류는 전체 오류 중 33%가 투약과 관련되고 그 중 1.2%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나 사망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의학의 발전, 환자의 알 권리 및 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투약 정확성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지금도 많은 연구자들은 투약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약물의 용량으로 인한 부작용 및 ...2024.08.30
-
Hypoxic brain damage2025.02.2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저산소성 뇌손상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저산소성 뇌손상은 혈중 산소량이 적고 혈류가 감소하거나 중단되어 뇌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입는 상태이다. 저산소성 뇌손상은 의식 상태의 변화, 신경계 기능 손상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저산소성 뇌손상의 원인, 증상, 진단 및 합병증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효과적인 간호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프로포폴 투여 후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2025.02.26
-
중환자 심정지 케이스스터디2025.04.06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해당 대상자를 선정한 이유는 대상자의 입원 경과를 보았기 때문이다. 3월 5일 새벽에 TA로 입원하게 되었다고 했는데 대상자가 입원한 날이 내 생일이기도 했고 그날 나도 대상자의 사고 발생 장소에 갔었기 때문에 놀라면서도 계속 눈길이 갔다. 한눈에 보기에도 심각해 보이는 상태로 침대에 누워있는 대상자는, Cardiac output monitor와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등 처음 보는 장치들을 달고 있어서 더 관찰하게 되고 궁금해져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선정...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