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범죄와 범죄심리2024.11.201. 청소년 범죄와 성범죄 1.1. 청소년 범죄의 증가 청소년 범죄의 증가는 근래 들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8년 하반기부터 2020년 3월 현재까지 텔레그램 등 SNS를 통한 성범죄 유포 사건인 "N번방 사건"에서 65명의 10대 가해자가 검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해자의 연령대 중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범죄의 주체가 아동·청소년이라는 점에서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범죄학자들은 이처럼 최근 청소년 범죄가 증가하는 이유로 '촉법소년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촉법소년'이란 10세 이상 ...2024.11.20
-
공연음란 반성문2025.06.071. 서론 1.1. 공연음란 행동에 대한 자기 성찰 저는 지난 2020년 1월 22일 새벽 골목길에서 여성 앞에 성기를 노출하는 등의 공연음란 행위를 하였다. 이는 왜곡된 성의식으로 인한 것으로, 이것이 두 번째 범행이었다. 정말 깊이 반성하며, 피해자와 사회에 끼친 잘못된 행동에 대해 죄송함을 표한다. 과거 2017년 4월에 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의 처벌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이와 같은 병적인 행동을 하게 되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저는 이러한 행동이 병적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고, 현재 정신과 치료를 ...2025.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