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첫째부활2024.09.211. 부활의 교리 1.1.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1.1.1. 부활의 성경적 근거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구약 성경에서 예언되었으며 특별히 장사한지 사흘만에 무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시는 사흘은 구약성경의 여러 구절들에서 암시되고 있다. 예수그리스도 자신이 부활을 예언하신 바와 같이, 그 부활의 사건이 있은 후 사도들에 의하여 힘 있게 증거 되었다는 것이다. 구약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여러 구절을 통해 암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요나가 사흘 만에 큰 물고기 뱃속에서 나온 것처럼 예수님도 사흘 만에 무덤에서 부활하실 것...2024.09.21
-
기독교 강요 인간론2024.10.271. 신학의 방법과 이해 1.1. 신학의 개념과 역사 신학의 개념과 역사는 다음과 같다. 신학이란 본래 그리스 철학자들이 신들에 대한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해명하거나 만유의 궁극적 원인을 추구하는 철학적 우주론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초기 교부들은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그리스 사상과 차별화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신학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동방교회에서는 7세기에 요하네스가 정교회 신앙을 해설한 "지식의 원천"을 펴냈다. 반면 서방교회의 스콜라 신학은 신학의 체계화에 박차를 가한다. 종교 개혁자들도 교의학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개신교 ...2024.10.27
-
사도신경을 기본으로 한 신앙고백2024.10.221. 사도신경 이해 1.1. 서론: 사도신경이란 무엇인가? 사도신경이란 예수님의 12제자가 예수님께서 승천하신 후 각처에서 복음을 전하면서 가르친 핵심적인 교리들, 즉 하나님, 예수님의 부활, 성령 등에 대한 항목들을 후대 사람들이 모아 하나의 신앙고백서를 만든 것이다. 사도들에게 유래되었다고 해서 사도신경이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지금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어떤 학자는 7세기경이라 하고, 어떤 학자는 4세기경이라고 하기도 한다. 초대교회에서 사도신경이 필요했던 까닭은 무엇보다도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그릇된 견해를 바로 잡으려...2024.10.22
-
빛의 자녀들과 어둠의 자녀들2024.10.091. 서론 데살로니가전서는 수신자들의 고민과 바울의 교훈이 조화를 이루며 종말론에 대한 바른 가르침을 제시해주고 있다. 그럼에도 서신의 전체 맥락이 단순히 종말론만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그리스도의 구원과 신자의 삶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 제시는 임박한 종말이 단순히 미래에 올 이야기, 천상의 이야기라고만 생각하지 않도록 만든다. 이러한 측면에서 데살로니가전서는 재림을 기다리는 신자에게 올바른 삶을 가르쳐주고 하나님의 말씀으로써 구원의 핵심적인 의미를 제시하는 서신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석의는 재림을 기대하는 신자의 삶에서 그들에게 ...2024.10.09
-
루카복음2024.11.221.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약성서의 이해 1.1. 신약성서에서의 예수 그리스도론 신약성서에서의 예수 그리스도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과 신분을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먼저, 예수께서 최고의회에서 재판을 받는 장면은 예수께서 바로 하느님의 아들, 찬양 받으실 분의 아들이신 그리스도라는 신학적 해명을 함축해 전해주고 있다. 여기에서 "찬양 받으실 분"이란 하느님을 가리키는 유대교적인 표현이기에 곧 '찬양 받으실 분의 아들'은 '하느님의 아들'을 뜻하는 것이다. 최고의회가 예수께 '당신은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요?'라고...2024.11.22
-
사중복음이 신유가 갖는 신학적 의미2024.12.181.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신앙고백서 요약 및 평가 1.1. 신앙고백서 요약 1.1.1.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성경은 구약 39권과 신약 27권으로 이루어진 총 66권의 하나님의 말씀이다. 성경은 다양한 배경 속에서 하나의 주제, 즉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드러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중심인물로서 우리에게 구원의 좋은 소식인 복음을 전해주셨다. 이 복음은 성도의 삶에서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을 경험하게 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우리의 구세주로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 승천하셨으며,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