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재난의심리사회적간호2024.10.041. 서론 1.1. 영역관련 건강요구 및 건강문제 분포 1.1.1. 자연재난 자연재난은 태풍 · 홍수 · 호우(豪雨) · 강풍 · 풍랑 · 해일 · 조수(潮水) · 대설 · 가뭄 · 지진(지진해일) · 황사 등과 같은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과 태평양이 만나는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여름에는 집중호우나 태풍, 겨울에는 폭설 등의 자연 재난을 되풀이하여 겪어오고 있다. 최근 10년간('08-'17) 우리나라의 연평균 자연재난 인명피해는 15명, 재산피해는 3,486억 원(2017년도 환산 가...2024.10.04
-
재난의 심리 사회적 간호2024.10.041. 서론 1.1. 재난의 개념과 유형 1.1.1. 자연재난 자연재난이란 태풍 · 홍수 · 호우(豪雨) · 강풍 · 풍랑 · 해일 · 조수(潮水) · 대설 · 가뭄 · 지진(지진해일) · 황사 등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난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과 태평양이 만나는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여름에는 집중호우나 태풍, 겨울에는 폭설 등의 자연 재난을 되풀이하여 겪어오고 있다. 최근 10년간('08-'17) 자연재난으로 인한 연평균 인명피해(사망ㆍ실종)는 15명, 재산피해는 3,486억원(2017년...2024.10.04
-
정신간호학 재난 수면장애2024.11.041. 재난의료와 정신건강 관리 1.1. 이태원 압사 사고 1.1.1. 사고 개요 이태원 압사 사고는 2022년 10월 29일 22시 15분경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173, 179 사이 골목에서 발생한 다중밀집사고이다. 이 사고는 군중 유체화 현상과 관계당국의 안전관리·통제 부족, 안전불감증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사고로 인한 피해는 사망 159명(사고 발생 시 사망자 156명, 사고 이후 사망자 3명), 부상 196명(경상 165명, 중상 31명)에 달했으며, 경찰, 소방/구급대원, 공무원 등 2,692명이 동원되어 ...2024.11.04
-
재난간호 해결방안2024.11.281. 재난관리와 간호사의 역할 1.1. 재난의 개념과 유형 재난이란 지역사회의 정상기능을 붕괴시키는 파괴적인 사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자원범위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자연적, 인위적 재해를 의미한다. 재난은 위험요인과 해당지역의 취약정도(취약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재난의 유형은 자연재난, 인적재난, 사회적재난, 해외재난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대설, 지진 등의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이다. 인적재난은 화재, 교통사고, 폭발 등과 같이 사고성 또는 범죄성 재난이다...2024.11.28
-
재난, 위기 상황에서의 사회복지2024.08.291. 서론 재난의 개념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왔다. 재난이란 어떠한 범위까지를 포함할 것인가에 따라, 사회환경과 시대적 발달의 정도에 의해 천재지변, 사건 사고가 재난 범위에 포함되기도 하고 제외되기도 한다. 재난이라는 어원에 따르면 광범위한 지역에서 나타나는 막대한 자연재해까지를 포함한다. 과학기술이 점차 발전할수록 자연재해 등과 같은 천재지변 이외에 사람의 통제가 닿지 않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사건이 자주 발생하면서 재난의 개념과 범위가 넓어졌고, 예상하지 못한 현상이나 사건으로 재산, 신체 손실을 일으키는 상태까지...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