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급성뇌경색 간호 진단2024.09.24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뇌경색의 정의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은 뇌혈관이 혈전이나 색전 등으로 막히게 되어 혈류를 차단하여 해당부위의 뇌조직을 손상시키는 질병이다. 뇌혈관이 막히게 되면 막힌 부위 이후의 뇌조직은 산소와 영양분을 받을 수 없어 뇌조직의 손상이 생기게 된다. 뇌조직은 한 번 망가지게 되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겪기 때문에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1.1.2. 뇌경색의 원인 뇌경색의 원인은 크게 혈전성 뇌경색, 색전성 뇌경색, 혈류역학적 뇌경색, 열공성 뇌경색으로 분류할...2024.09.24
-
혈액 문제2024.10.151. 심장 및 혈관계 질환 1.1.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해 체내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혈액이 정체되어 정맥혈관이 확장되고 조직의 부종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심장질환이다. 울혈성 심부전은 좌심실부전과 우심실부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좌심실부전은 좌심실의 수축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폐울혈이 나타나고, 우심실부전은 우심실의 펌프 기능 감소로 인해 전신 정맥 울혈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좌심실부전이 먼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우심실부전이 이차적으로 발생하...2024.10.15
-
tpa2024.10.121. 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1.1. 정의와 특성 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혈괴를 파괴하는 용도로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이는 정맥주사제이며 tPA 요법은 뇌졸중 치료의 표준요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래 섬유소를 용해시키는 천연물질이지만, 실제로 치료에 사용되는 것은 재조합 tPA이다. 미국 심장협회(AHA)에 의하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한 후 3시간 이내에 tPA를 투여하면 불구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2024.10.12
-
급성심근경색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4.11.091. 급성심근경색 1.1. 문헌고찰 1.1.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관상동...2024.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