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2024.08.311. 서론 1.1. 선천성 거대결장의 정의와 특징 선천성 거대결장은 장의 운동을 담당하는 장관 신경절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대장 원위부에 부교감 신경절 세포가 결손되어 장 팽만을 일으키므로 거대결장이라고 명명한다. 신생아나 소아에서 거대하게 확장된 결장을 동반하면서 배변 장애와 기능성 장폐쇄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신생아기부터 증상이 나타나며 확장된 결장 부위가 병소인 점에서 선천성 거대결장증이라 불리어 왔다. 또한 Hirschsprung(1886)에 의해 보고되어 허쉬스프룽병 혹은 히르슈슈프룽병(Hirschspr...2024.08.31
-
선천성 거대결장 케이스2024.12.141. 서론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을 차지하고 있는 질병이다. 발병빈도는 살아서 출생한 아동 5,000명 중의 1명이며, 여아보다 남아에서 4배 더 많이 발생된다. 또한 약 1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는 출생 후 2일 이상 태변 배출이 늦어지거나 복부 팽만이 심해 수유 진행이 어렵고 구토가 지속되는 경우 선천성 거대결장 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고 빠르게 치료를 해야 한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복부팽만, 구토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고 이후 위험한 합병증인 소...2024.12.14
-
A 성인간호학 충수염 간호진단 사례2025.02.08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충수염은 임상에서 수술을 요하는 복통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매년 우리나라에서 10만 명 이상이 급성 충수염으로 수술을 받는다. 이에 따라 충수염에 대한 문헌고찰 및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급성 충수염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급성 충수염의 진단 및 치료 방법을 파악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충수염은 맹장에 붙어있는 충수라는 작은 기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며, 10~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한다. 급성충수염의 임상증상은 천공 여부에 따라 다르게...2025.02.08
-
신생아 선천성기형 간호진단2025.02.051. 서론 1.1. 선천성 기형의 중요성 선천성 기형은 신생아의 건강과 생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선천성 기형은 출생 직후부터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선천성 거대결장과 같은 특정 기형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적절한 시기에 발견하여 관리하지 않으면 장폐색, 패혈증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져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선천성 기형은 신생아의 성장과 발달에 지장을 초래하여 장기적으로도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선천성 기형에 대한 정확한...2025.02.05
-
장중첩증2024.08.311. 장중첩증 개요 1.1. 정의 장중첩증(intussusception)이란 장의 원위부가 근위부 속으로 밀려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장중첩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 부위는 소장 말단과 막창자(맹장, cecum) 사이의 회맹부(ileocecal valve)로, 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갈 때 장의 너비가 갑자기 증가하기 때문에 발생하기 쉽다. 이 외에도 회회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장형 장중첩증(ileoileal intussusception), 결절부위에서 발생하는 대장형 장중첩증(colocol...2024.08.31
-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2024.10.011. 서론 1.1. 필요성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쇄증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선천적으로 발생하지만, 질환의 발생 부위에 따라 출생 직후 발견되는 경우부터 2~3세가 되어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신생아 5,000명 중 약 1명에게 나타나고, 남아가 8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00명 정도 발생한다. 또한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아동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신경절의 선천적 결여로 인하여 대장의 연동운동 장애, 괄약근의 과긴장 등으로 장폐쇄가 나타...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