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8개
-
충수염 수술 및 간호 종합 보고서2024.09.111. 충수염(Appendicitis) 1.1. 정의 충수는 소장의 회장(ileum)이 끝나고 대장(결장, colon)이 시작되는 부위에 약 10cm 길이로 연결되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부위이다. 충수돌기염은 이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충수돌기는 우측 하복부에 위치하며 배꼽과 오른쪽 골반 뼈 사이에 있다. 충수염은 진행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된다. 1.2. 원인 충수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대부분 충수돌기 개구부가 폐쇄되면서 시작되는 ...2024.09.11
-
식도폐쇄증2024.09.231. 소화기계 선천성 질환 1.1. 식도폐색과 기관식도루(Esophageal atresia and tracheoesophageal fistula) 1.1.1. 정의 식도폐색과 기관식도루(Esophageal atresia and tracheoesophageal fistula)는 식도에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으로,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이다. 태생기에 식도가 기도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결손이 발생하여 이러한 기형이 나타난다. 기관-식도가 연결된 기관식도루는 식도폐색증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1....2024.09.23
-
응급실 case study abdominal pain2024.09.24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OO병원의 응급실에서는 여러 가지 질환의 환자들이 내원하였다. 특히 골절, 숨찾 증상, 신장문제 등으로 내원하는 환자분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나의 케이스와 같이 복막염으로 내원하시는 분들은 드물었다. 복막염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시는 환자분들의 경우에는 이전에 복통 기왕력이 있었지만, 단순한 복통으로 생각하여 병원 내원을 안하고, 미뤘다가 질병이 악화되고 나서야 내원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하신다. 이번 케이스 또한 이와 같다. 복막염은 심하면 중증감염질환이 될 수 있기에 매우 위험한 질환 중 ...2024.09.24
-
성인간호학3 의학용어2024.10.071. 충수염 개요 1.1. 정의 충수염은 맹장에 붙어있는 작은 기관인 충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충수는 맹장의 맹낭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 장내 세균에 의해 감염되기 쉬운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충수염은 주로 원발성 염증에 의해 발생하며, 충수의 폐색 및 부종, 대변으로 인한 충수의 폐색, 이물질이나 기생충 등에 의한 폐색, 그리고 감염으로 인한 림프조직의 비대 등이 원인이 된다."" 1.2. 원인 맹장 즉, 충수의 염증은 막창자(맹장)에 연결된 부위에 있는 맹낭에서 주로 발생한다. 맹낭은 장 내 세균에 의해 감염...2024.10.07
-
소장과 대상자 간호 정리2024.10.0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폐색은 대게 외과적 응급상황이다. 대장 폐색은 보통 S상 결장에서 발생한다. 소장에서의 급성 폐색에 대한 사망률은 10%정도 이고, 대장에서는 30%정도이다. 폐색은 오심, 구토, 탈수와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장폐색은 장에 염증·부종을 야기해 쇼크로 이어질 수 있어 응급조치가 필요한 질환이지만, 대부분의 보호자나 환자가 가벼운 복통이나 심한 복통, 충수돌기염 수준으로 생각하거나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넘기는 실상이다. 이에 본 보고서는...2024.10.04
-
소장과 대장장애 대상자 간호2024.10.041. 소화기계 해부생리 1.1. 위장관계 기능 위장관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소화, 흡수, 배설 과정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고 소화하여 신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며, 불필요한 부분을 배출하는 것이다"" 구강에서 시작된 음식물은 연하 작용을 통해 하부 위장관으로 이동하며, 위와 소장에서 소화가 이루어지고 영양분이 흡수된다"" 그 후 대장에서 수분과 전해질이 재흡수되어 배설물이 형성된다"" 위장관계는 입부터 항문까지 이어지는 긴 관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상부 위장관(oral cavity ~ duodenum...2024.10.04
-
충수염 간호과정2024.10.041. 서론 충수염은 임상에서 수술을 요하는 복통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우리나라에서 매년 10만 명 이상이 급성 충수염으로 수술을 받고 있다. 충수는 맹장 끝에 달린 길이 6~9cm의 주머니 모양의 소화기관이다. 충수염은 이 충수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흔히 맹장염으로 불리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이며, 충수염이 정확한 용어이다. 충수염은 진행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충수염은 매우 ...2024.10.04
-
울혈성심부전 시나리오 흐름도 작성2024.09.191.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1.1. 정의 장폐색은 소장이나 대장의 일부가 여러 요인에 의해 장 내용물의 흐름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이 통과하지 못하여, 배변과 가스가 장내에 축적되어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1.2. 원인 장폐색의 원인은 크게 기계적요인, 신경성 요인, 혈관성 요인 등이 있다. 기계적 요인에는 유착(adhesions), 탈장(hernia), 장 염전(volvulus), 장중첩증(intussusception), 종양 등이 있다. 유착은 소장...2024.09.19
-
울혈성심부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작성2024.09.191.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1.1. 정의 및 원인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은 소장이나 대장의 일부가 여러 요인에 의해 장 내용물의 흐름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이 통과하지 못하여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이다. 대부분의 장폐색은 소장, 특히 회장에서 많이 발생하며, 소장폐색은 대개 응급수술을 요한다" 장폐색의 원인은 크게 기계적요인, 신경성 요인, 혈관성 요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기계적 요인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유착(adhesions), 탈장...2024.09.19
-
회장조루술 case2024.10.2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장폐색은 장의 일부가 내부적 혹은 외부적인 이유로 막혀 장의 흐름이 손상된 질병을 말한다. 이러한 장폐색은 유착, 탈장, 염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장페색을 유발하는 흔한 원인은 과거 개복 수술을 받은 경우이다. 개복 수술을 받은 경우 수술 부위가 아물면서 주위의 장과 유착이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은 그 나름대로 장의 통로가 유지되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유착이 심해 장이 막히는 경우가 있다. 이 환자의 경우, 2015.10.05 회장조루술을 받기 전 201...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