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회장조루술 case2024.10.2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장폐색은 장의 일부가 내부적 혹은 외부적인 이유로 막혀 장의 흐름이 손상된 질병을 말한다. 이러한 장폐색은 유착, 탈장, 염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장페색을 유발하는 흔한 원인은 과거 개복 수술을 받은 경우이다. 개복 수술을 받은 경우 수술 부위가 아물면서 주위의 장과 유착이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은 그 나름대로 장의 통로가 유지되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유착이 심해 장이 막히는 경우가 있다. 이 환자의 경우, 2015.10.05 회장조루술을 받기 전 201...2024.10.28
-
크론병2024.11.251. 크론병의 개요 1.1. 정의 크론병은 국소성 회장염이라고도 하며 궤양성 대장염과는 달리 소화기관의 어느 분절에서나 불연속적으로 생길 수 있는 만성적이며 재발성인 질환이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회장의 말단 부위이며 이환된 장의 점막 밑 조직이 두꺼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20대에 많이 발생하며 남녀 발생률은 거의 같다. 1.2. 원인 1.2.1. 유전적 인자 유전적 인자는 크론병 발병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크론병과 궤양성 결장염에 관한 연구』(덴마크, 1991)에 따르면, 크론병 환자의 친척들이 이 질환에...2024.11.25
-
복막염2024.08.191. 서론 1.1. 복막염의 개념과 중요성 복막염은 복강 및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인 복막에 발생한 염증 혹은 자극 증상이다. 주로 세균성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복막염은 중독 증세를 나타낼 때가 많으며, 위궤양·십이지장궤양의 천공, 충수염·장티푸스에 의한 장의 천공, 자궁외임신의 파열 등이 원인이 된다. 천공이 일어나면 순간적으로 심한 복통이 일어나고 쇼크 증세를 나타낼 수 있다. 복막염은 국소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치료가 지연되면 염증이 복막 전체로 퍼지게 되어 수술이 어려운 ...2024.08.19
-
소장폐색 질환고찰2024.09.071. 장폐색의 진단과 치료 1.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소화기계는 구강에서 시작하여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및 항문으로 이어지는 관으로,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 및 배출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소화기계는 크게 상부 소화관과 하부 소화관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 소화관은 구강, 인두, 식도, 위, 십이지장으로 구성되며, 이 부분에서는 주로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의 첫 단계가 이루어진다. 구강에서 씹기와 삼키기 동작이 일어나고, 타액선에서 분비된 타액은 음식물을 연화시켜 삼키기 쉽게 만든다. 식도에서는 연동운동에 의해 음식...2024.09.07
-
소화기계 질병별 및 간호2025.02.261. 소화기계 질병 개요 1.1.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소화기계는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기관들의 계통이다. 소화관은 입과 항문으로 열려 있어 외부 환경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해한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방어 장벽의 역할을 한다. 소화관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 또는 바깥막의 네 층으로 구성된다. 점막층은 점막 상피, 고유관, 점막근육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강/식도/항문의 상피는 쓸리는 힘에 강하고 위와 창자의 상피는 흡수와 분비를 담당한다. 점막하층에는 혈관, 신경, 작은 샘들이 있으며 자율신경이 연결되...2025.02.26
-
장폐색 케이스2025.03.071. 간호력 1.1. 일반정보 성인 장폐색 환자의 사례 보고 BIRTH DATE : 1933.3.13 SEX : M AGE : 88 입원일 : 2021년 10월 23일 20시 진단명 : 장폐색증, 방광 내 악성 신생물, 신부전, 저중량 오스몰 농도 및 저나트륨혈증 체중 : 55kg 교육정도 : 고졸 직업 : 무직 입원동기는 복부팽만, 불편감으로 내원하였다. 주 증상은 배에 가스가 차는 느낌과 복통이었다. 발병일은 2021년 10월 21일이다. 과거력으로는 COPD, CKD, HTN, DM, bladder cancer가 있었다....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