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정조의 정치2024.10.201. 정조의 정치와 개혁정책 1.1. 시대적 배경 정조는 영조시대가 남긴 정치적 유산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국왕의 입지를 바로 세우는 것,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는 것, 무너진 관료제의 기강을 잡는 것, 군령체계를 바로 하는 것 등이 모두 정조가 당면한 과제였다. 그렇기에 정조는 국왕 중심의 정치를 회복하여 정치적 과제들을 해결하고자 했다. 정조의 정치 과제의 배경 속에는, 영조시대의 대표적 후유증이라고 볼 수 있는 '사도세자 사건(1762년)'이 있다. 사도세자가 부왕에 의해 죽음을 맞이한 이 사건...2024.10.20
-
융건릉2024.11.201. 수원·화성지역 답사 1.1. 성곽의 도시 수원·화성 개관 조선 제22대 왕 정조는 부친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수원 화산으로 옮기면서 수원을 근대 도시로 건설하였다. 수원은 서울에서 남쪽으로 40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정조는 이곳이 "우리나라의 우부풍(右扶風)의 땅"이라고 평가하였다. 즉, 바다를 등지고 한강을 앞에 두어 서울을 감싸고 있으며, 영남과 호남을 아우를 수 있는 지리적 요충지라는 것이다. 정조는 수원을 신도시로 건설하면서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기고 이를 "현륭원"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이 현륭원을 보호...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