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발달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2025.01.221. 서론 1.1.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 장애인복지법상 생활체육은 장애인의 건강증진과 여가선용, 그리고 지역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그 결과 점차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기준 등록 장애인 중 생활체육 참여율은 36.3%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대비 3.4%p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장애유형별로는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이 43.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청각장애인 34.4%,...2025.01.22
-
스포츠와 윤리 측면에서 좌식배구 종목의 효과적인 장애인 대상 운동 지도방안2024.09.021. 서론 2011년 프로축구(K리그) 승부조작, 2012년 프로야구(KBO)와 프로배구(V리그)의 승부 조작, 2013년 프로농구(KBL) 유명 선수였던 감독의 승부조작 사건 등 프로스포츠에서 윤리적인 큰 이슈인 승부조작 사건이 발생했다. 역사적으로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일본 프로야구에서 구로이키리(검은 안개)로 기억되는 야오초(승부조작) 사건이 발생했다. 대만도 1996년 도박업체의 프로야구 개입으로 관중 수가 연간 165만 명에서 30만 명으로 줄었다. 승부조작 뿐만 아니라 종목과 상관없이 음주, (성)폭력, 도박, ...2024.09.02
-
휠체어 컬링 장애특성이해2024.09.021. 장애인 스포츠 1.1. 장애인스포츠의 개념 장애인스포츠는 장애인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계획한 스포츠를 의미하며 보통 장애인이 참여하는 경쟁 스포츠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보편적으로 장애인스포츠는 장애인체육이라는 용어와 함께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체육의 하위 영역으로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신체활동을 하는 의미를 갖는 전문용어로 활동의 주체가 되는 장애인, 그리고 체육이 결합된 용어이기 때문이다. 장애인스포츠는 일반체육 프로그램에 제한 없이 참가함으로서 성취감이나 안정감을 갖지 못하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제한점과...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