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장애인평생교육2024.10.061. 장애인 평생교육의 중요성 1.1. 장애인 인구 증가와 고령화 장애인 인구 증가와 고령화이다. 보건복지부는 장애복지법 제31조제1항에 근거하여 3년에 한 번씩 장애실태조사를 진행하는데, 이를 통해 장애인의 생활실태, 건강상태, 사회ㆍ경제적상태, 돌봄 특성 및 복지 욕구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21년 4월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2020년 기준 등록장애인은 262만 2,950명으로 나타났다.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장애인 현황은 등록장애인이 2011년에는 261만 1,...2024.10.06
-
장애인평생교육2024.09.281. 장애인 평생교육의 현황 1.1. 장애인 현황 및 특성 우리나라의 장애인 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등록장애인 수가 총 262만 2,95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인구 대비 5.0%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5세 이상 장애인이 49.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50-64세가 28.7%, 40-49세가 9.5%, 30-39세가 4.8%, 18-29세가 4.2%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장애 노인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력 수준을 살펴보면, 65세 미만 장애인의 경...2024.09.28
-
본인이 개발하고 싶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생각해보고 그 이유2024.12.101. 장애인 평생교육 1.1. 장애인 평생교육의 정의와 의미 장애인도 이 평생교육의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대상에서 제외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지식정보 사회로의 이동은 장애인의 사회참여욕구를 스스로 드러내는 계기로 작용하면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 생애동안의 교육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기 시작하고 있다. 교육을 통한 장애의 기능개선 및 회복, 나아가 자기계발과 사회참여의 기반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회적 장벽이 두터운 장애인에게 있어서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 평생교육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