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3개
-
장루2024.09.111. 장루(스토마)의 개요 1.1. 소화기의 구조와 기능 소화기의 구조와 기능은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소화관은 입에서 항문까지 연결된 긴 관으로, 몸에 수분 및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입을 통해 섭취된 음식물은 식도, 위를 거쳐 소장으로 보내진다. 소장은 가늘지만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대부분의 소화가 이 곳에서 이루어진다. 소장을 지난 음식물은 대장으로 이동한다. 대장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상 결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장에서 음식물이 통과할 때 수분...2024.09.11
-
비수술 장폐색 케이스스터디2024.09.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암이란 미분화된 세포로 구성되어 종양을 형성하는 것으로 악성종양의 경우 양성종양에 비해서 성장속도가 높으며 전이를 통해 다른 장기까지 침범하게 되고, 주위의 정상조직을 침범한다. 자라서 결국 장기의 기능을 파괴하여 생명에 위험을 주게 되는 질환이다. 년도가 지남에 따라 암 발생자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식습관이 서구화 됨에 따라서 위장관계 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에서 암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대장암에 대해 깊이 알고,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증...2024.09.30
-
Gallbladder cancer with liver invasion2024.10.271. 용어 및 약어 약어 용어 의미 AGC Advanced gastric cancer 진행성 위암 CBD Common bile duct 총담관 EGC Early gastric cancer 조기 위암 EGD Endoscopic gastroduodenoscopy 위-십이지장 내시경 EST Endoscopic sphincterectomy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 내시경 초음파 검사 GB Gallbladder 담낭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위식도...2024.10.27
-
칠곡경대2024.09.111. 대장암 1.1. 정의 대장암이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면 결장암,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한다"이다. 1.2. 종류 대장암의 대부분은 대장 점막 샘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으로, 양성 종양인 선종성 용종(polyp)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졌다"" 선암은 대장암의 가장 흔한 유형이며, 이 경우 대부분 대장 점막의 선세포에서 발생한다. 또한 양성 용종성 병변인 선종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대장암의 상당수는 전암성 병변인 선...2024.09.11
-
대장암 적용사례2024.09.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한국인의 대장암 발병률은 세계 1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대장암 발병률은 10만 명당 45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19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대장암으로 인한 국내 사망률도 10만 명당 17.5명으로 폐암, 간암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이는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대장암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장암은 조기 발견 시 90% 이상 완치가 가능한 암 중 하나이다. 그러나...2024.09.21
-
성인간호학 대장암 수술 후 관리2024.09.211. 서론 장 배설 장애와 관련된 질환인 대장암은 대표적인 '선진국형 암'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오늘날 서구화된 식생활 양식과 비만으로 인해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장암의 근본적인 치료는 대장에 생긴 암을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이며 이는 질병치료의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조직손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수술 후 환자들은 수술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며 수술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불편감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장루형성, 배변습관의 변화로 인한 변실금, 잦은 배변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경험하게 ...2024.09.21
-
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2024.09.271. 장 배설 장애와 관련된 질환 1.1. 변비 1.1.1. 증상 변비의 증상은 질병이 아니라 하나의 증상으로서 평상시보다 더 단단한 형태의 변을 보는 것이다. 장의 운동성이 늦어지면 음식물이 장에 머무는 시간도 늘어나고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지속적으로 장에 흡수되어 대변이 단단해지고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왼쪽 하복부에서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며 변의 형태는 정상이나 배변이 지연되는 경우, 정상 배변형태에 변화가 있었거나 변의가 있어도 배변을 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 1.1.2. 원인 불규칙적인 배변습관과...2024.09.27
-
Colostomy2024.10.041. 소화기관의 구조 1.1. 소화관 소화관은 입에서 항문까지 연결된 긴 관으로 몸에 수분 및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입을 통해 섭취된 음식물은 식도, 위를 거쳐 소장으로 보내진다. 소장은 가늘지만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대부분의 소화가 이 곳에서 이루어진다. 소장을 지난 음식물은 대장으로 이동하며 대장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상 결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장에서 음식물이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대변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소장에 이어서 항문에 이르는 소화관의 마지막 ...2024.10.04
-
장루와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2024.10.181. 결장루 관리 1.1. 결장루 주변 피부문제 나장루님의 결장루 주변 피부문제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장루 주변 피부에서 발적이 심하게 관찰되었으며, 압통을 동반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장루주변은 액체의 분변으로 오염되어 있었고, 장루주변 피부상태는 redness color와 pus가 관찰되었다. 장루구멍과 제품의 사이즈가 맞지 않아 장루주변으로 분변이 새어 나오고 있는 상태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장루를 통해 배액되는 양상은 watery+loose stool, 생선 썩는 냄새, yellow+brown colo...2024.10.18
-
완하제 남용2024.10.041. 서론 장의 배설 기능은 음식물을 섭취하고 에너지를 획득한 후 남은 잔여물을 몸밖으로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면 식욕부진부터 산-염기 불균형 등 다양한 건강상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장배설장애로 인하여 사회적 활동도 위축되고 생활에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장 배설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조사하여 원인, 임상 증상, 치료 및 간호 중재에 관해 살펴보고, 대장암으로 인해 장루를 보유하게 된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장루 간호 교육 내용과 간호 교육에 대한 효과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