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폐혈성 쇼크 케이스2024.09.261. 서론 1.1. 폐혈성 쇼크(패혈성 쇼크)의 정의 패혈성 쇼크는 미생물 감염에 대한 전신적인 반응으로 인해 저혈압과 장기 부전이 동반되는 상태이다. 패혈성 쇼크는 SIRS(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가 감염으로 인한 것일 때 나타나는데, SIRS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SIRS는 체온이 36도 미만 또는 38.5도 초과, 심박수가 분당 90회 초과, 호흡수가 분당 20회 초과하거나 PaCO2가 32mmHg 미만, 백혈구 수가 4×10^9/L 미만 또는 12×10^9/L 초과하는 등 이러한 증상 중 2가지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2024.09.26
-
Septic shock2024.10.0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는 임상에서 쉽게 접하는 중요한 임상적 문제로, 전세계적으로 매년 수백만의 환자들이 이로 인해 고통 받으며 이 중 많은 수가 사망하게 된다"".[1] 국내에서도 매년 약 35,000명에서 40,000명의 패혈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패혈성 쇼크는 발생하면 사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환자 개인별 맞춤 치료와 간호가 매우 중요하다"".[1] 이에 따라 이번 응급실 실습 중 관찰한 패혈성 쇼크 환자를 대상으로 그 치료와 간호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2024.10.02
-
패혈증 심박출량 감소 간호진단2024.11.141. 패혈증(Sepsis) 1.1. 정의 패혈증(Sepsis)은 세균이 혈액 속에 들어가 번식하고 생산된 독소에 의해 중독 증세를 나타내거나 전신에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을 의미한다. 건강한 사람은 균이 침입하더라도 장기 등의 활동으로 제거되어 버리지만, 당뇨병,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감염, 악성종양 등 면역성이 떨어지는 질병에 걸린 경우 제거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여 패혈증이 발병하게 된다. 미생물에 의해 항상성이 깨져버리며 이로 인해 주요 기관에 기능장애가 올 시 패혈성 쇼크로 진행된다. 1.2. 병태생리 패혈증의 병태생리는 ...2024.11.14
-
shock환자처치2024.08.281. 쇼크의 정의와 분류 1.1. 쇼크의 정의 쇼크란 조직으로 가는 혈류의 부적절한 관류로 인하여 조직으로의 산소의 공급이 불충분하여 조직의 저산소증을 유발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며 조직의 대사정도에 따라 산소의 필요성이 증가되어야 하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치료가 되지 않는 지속적인 조직의 저산소증은 강력한 염증유발인자로 작용하여 혈관내막에 체액성, 세포성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세포기능이상이 발생하게 되어 다발성 장기부전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쇼크 환자의 치료목표는 조직에서의 산소부족 즉 저산소...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