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요고와 장고의 유래2024.09.26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고구려의 고분 벽화,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 여러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세"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크기는 매우 작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는데, 이때 북면을 연결하는 몸통은 불룩한 형태이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에는 진도 앞바다에서 요고가 최...2024.09.26
-
설장구악보2024.11.261. 사물놀이의 이해 1.1. 사물놀이의 정의 사물놀이는 전통적인 길군악, 풍물굿, 탈춤 등의 요소를 결합한 한국의 대표적인 타악기 퍼포먼스이다. 사물놀이는 1978년 김덕수, 이광수, 김용배, 최종실 등이 주축이 되어 시작한 공연예술로, 꽹과리, 징, 장구, 북 등 네 가지 악기로 연주된다. 사물놀이는 한국 고유의 타악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독특한 리듬과 음색, 춤사위 등을 통해 한국적 정서와 미학을 드러낸다. 사물놀이는 단순히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넘어서 참여자 모두가 하나의 리듬을 만들어내는 집단적인 퍼포먼스...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