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2024.08.311. 서론 1.1. 선천성 거대결장의 정의와 특징 선천성 거대결장은 장의 운동을 담당하는 장관 신경절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대장 원위부에 부교감 신경절 세포가 결손되어 장 팽만을 일으키므로 거대결장이라고 명명한다. 신생아나 소아에서 거대하게 확장된 결장을 동반하면서 배변 장애와 기능성 장폐쇄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신생아기부터 증상이 나타나며 확장된 결장 부위가 병소인 점에서 선천성 거대결장증이라 불리어 왔다. 또한 Hirschsprung(1886)에 의해 보고되어 허쉬스프룽병 혹은 히르슈슈프룽병(Hirschspr...2024.08.31
-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2024.10.011. 서론 1.1. 필요성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쇄증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선천적으로 발생하지만, 질환의 발생 부위에 따라 출생 직후 발견되는 경우부터 2~3세가 되어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신생아 5,000명 중 약 1명에게 나타나고, 남아가 8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00명 정도 발생한다. 또한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아동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신경절의 선천적 결여로 인하여 대장의 연동운동 장애, 괄약근의 과긴장 등으로 장폐쇄가 나타...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