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요고와 장고의 유래2024.09.26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고구려의 고분 벽화,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 여러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세"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크기는 매우 작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는데, 이때 북면을 연결하는 몸통은 불룩한 형태이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에는 진도 앞바다에서 요고가 최...2024.09.26
-
경복궁 답사 보고서2024.10.181. 경복궁 답사 개요 1.1. 답사 배경 및 목적 관광과 여가 강의 첫 시간, 관광지 답사 보고서 과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관광대상으로 가장 먼저 떠오른 곳은 경복궁이었다. 경복궁은 왕족들이 거처했던 곳으로, 조선 건축양식의 가장 화려한 면을 구경할 수 있는 곳이며, 조선 창건이후 조선의 희로애락 500년사를 함께했으며, 일제강점기 우리 역사의 수난사를 오롯이 겪은 공간이기에 간접적으로 한국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장소이다. 또한, 개인적으로 갓 취학했을 무렵, 어머니, 동생과 함께 한두 번 이곳에 갔었는데, 당시엔 ...2024.10.18
-
요고와 장고의 역사에2024.10.11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와 유래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요고는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고의 사용은 늦어도 5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 삼국시대에는 요고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악기였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2. 고구려, 백제, 통일신라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