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유도분만후 산후출혈2024.09.171. 서론 모든 모성 사망의 50% 이상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일어나고, 대부분이 과도한 출혈 때문이다. 대부분의 산부들은 임신기간 동안 신체 보상기전의 일환으로 혈액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산후출혈에 견딜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출혈은 혈액역동의 불안정을 초래하고 모성사망과 이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2.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 2.1.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질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이상의 출혈이 있...2024.09.17
-
여성 건강 간호학 산후 출혈 문헌고찰2025.03.091. 서론 1.1. 산후출혈의 정의와 구분 산후출혈은 분만 후 분만 과정에서 과다한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질식 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로 정의된다. 그러나 실제 분만 후 약 400~600mL의 출혈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최근에는 분만 후 현기증, 허약감, 심계항진, 발한, 혼돈과 같은 증상이나 저혈압, 빈맥, 핍뇨, 낮은 산소포화도와 같은 저혈량증 증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기도 한다. 산후출혈은 발생 시기에 따라 조기 산후출혈(early or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