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가시리 신아리랑2024.09.111. 고려 속요(古麗俗謠) 1.1. 고려 속요란 무엇인가 고려 속요는 고려시대에 불렸던 우리말 노래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고려시가는 크게 경기체가와 속요로 구분되는데, 속요는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노래를 의미한다. 고려 속요는 신라시대의 향가로부터 이어진 서정적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고려 속요라는 용어는 그 뜻이 모호하고 범주가 넓기 때문에 연구 초기부터 지금까지 개념 규정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넓은 의미로는 고려시가 전체를 지칭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경기체가와 속요...2024.09.11
-
향가처용가 고려가요처용가 비교분석2024.10.111. 향가와 고려가요의 문학적 특징 1.1. 향가의 문학적 표현 분석 1.1.1. 제망매가의 문학적 표현 분석 제망매가의 문학적 표현 분석은 다음과 같다. 제망매가는 향가 중에서 가장 빼어난 향가문학작품 중의 하나로 일찍부터 많은 논의가 되어온 작품이다. 월명사가 이 노래를 지어 부르자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일어나 종이돈을 서쪽으로 날아가게 했다고 《삼국유사》는 적고 있다. 이 작품은 처음 누이의 죽음을 통해 느끼는 슬픔과 두려움을 제시하고, 다시 인생의 무상감과 허무감을 자연 이치를 통해 재확인한 뒤, 영탄을 발하면서 종교적 ...2024.10.11
-
고전 애정소설 유형2024.10.301. 고전소설의 개요 1.1. 고전소설의 개념과 범위 고전소설은 조선조 말까지 나온 우리나라 소설을 말한다. 그 시대적 범위는 15세기 초(조선조 초기)에서 19세기 말, 20세기 초(조선조 말기)에 창작된 작품들이 대부분이며, 대부분의 작품이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에 등장한다. 고전소설에는 국문소설과 한문소설이 모두 포함되며, 그 분량도 한두 장의 단편부터 100책 이상의 장편까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소설 장르로서의 특징이 뚜렷한 단행본부터 설화, 야담, 전, 실기 등과 구별하기 어려운 잡서나 문집 속의 작품까지 포함된다. ...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