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치과약리학2024.09.231. 약리학 기본 원리 1.1. 약물의 정의와 명명법 약물이란 "질병을 진단, 치료,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가 알려진 화학물질"이다. 약물의 명칭에는 일반명, 상품명, 화학명이 있다. 일반명은 약리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명칭으로, 약물이 최종적으로 시장에 나올 때 붙여지는 이름이다. 일반명은 독점권이 없으며 보통 모든 국가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lidocaine"이 일반명이다. 상품명은 제약회사에서 그 약물에 외우기 쉽고 편리한 이름을 붙여서 판매할 때 주어지는 명칭이다. 예를 들어 "도케인...2024.09.23
-
계통별약물2024.09.291. 자율신경계 약물 1.1. 아드레날린 작용제 1.1.1. 작용 기전 아드레날린 작용제의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 교감신경계 작용제인 아드레날린 작용제는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투쟁 또는 도피 반응"의 증상들을 유도하며, 저혈압과 쇼크 치료제로 사용된다. 이들 아드레날린 작용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직접 작용제, 간접 작용제, 혼합 작용제로 구분된다. 아드레날린 작용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이들은 높은 효력을 지니고 있어 α, β 수용체를 직접 활성화시킬 수 있다. 둘째, 이들은 신속하게 불활성화되는데, 효...2024.09.29
-
치과 약리학2024.10.311. 약물의 작용원리 1.1. 약물표적(drug targets) 또는 수용체(receptors) 약물표적(drug targets) 또는 수용체(receptors)는 약물과 결합하여 약물 효과를 나타내는 세포 내 성분을 의미한다. 가장 중요한 약물 결합 표적은 단백질로, 효소, 이온통로, 수송단백질, 수용체 등이 대표적이다. 대표적인 예로 아스피린은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와 결합하여 이 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진통, 해열 작용을 나타낸다. 수용체는 세포 외부에서 전달되는 화학적 신...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