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긴급의료지원2024.09.301. 공공부조 1.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1.1.1. 제도의 개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필요한 급여를 실시해 이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고자 실시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1999년 9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제정·공포되면서 2000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헌법상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빈곤선 이하의 국민들에 대한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근로능력이 있는 국민들에게는 자활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 법의 입법취지이다. 수급자로서 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2024.09.30
-
사회복지공무원 직무수행2024.10.141.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과 직무 1.1.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념 및 역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란 공무원의 일반적인 분류 중 지방직-경력직-일반직공무원에 해당하며, 기초생활보장사업 등 사회복지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기하기 위하여 행정기관의 장이 사회복지사업법 제 11조의 규정에 의한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진 자 중에서 선발하여 행정기관에 배치한 국가 및 지방공무원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은 다양하다. 첫째, 중개인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문가의 위치에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결하는...2024.10.14
-
지역자활센터의 참가자의 자활능력과 사업유형에 대해 생각2024.09.041. 지역자활센터의 개요 1.1. 지역자활센터의 개념과 역할 지역자활센터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6조에 따라 인정된 복지기관으로, 저소득 취약계층(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자립과 자활을 위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정되는 기관이다. 지역자활센터는 차상위계층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며, 이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고 자활할 수 있도록 자립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을 역할로 한다. 구체적으로 지역자활센터는 자활을 위한 근로의 기회와 기술 습득 등의 지원을 제공하여,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의 자활을 촉진하고 자립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2024.09.04